지난 6일부터 국가인권위를 점거하고 농성을 벌이는 장애인들이 오세훈 시장이 약속을 지킬 것을 촉구하는 대형 현수막을 인권위 건물 외벽에 내걸었다. ⓒ에이블뉴스

오세훈 서울시장이 탈시설 자립생활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장애인들의 요구에 대해 중앙정부와 보조를 맞춰 대책을 세우겠다고 공식적인 입장을 밝혔다.

오 시장은 7일 열린 서울시의회 제216회 본회의 시정질문에서 자립생활체험홈 등 자립생활 지원책에 대한 서울시 대책을 묻는 나은화 서울시의원의 질의에 “그간 서울시가 선구적이고 실험적인 정책을 앞서서 해왔지만 중앙정부와 보조를 맞추지 않으면 예상치 못한 어려움에 직면할 수도 있다"고 답변했다.

이에 앞서 지난 6일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사회복지시설비리척결과탈시설권리쟁취공동투쟁단, 석암재단생활인인권쟁취비상대책위원회 대표자들은 신면호 서울시청 복지국장, 박필숙 장애인복지과장 등과 면담을 가졌지만 서로의 입장차만 확인했다.

장애인단체측은 이 자리에서 탈시설 5개년계획 수립 등 그동안 제시해온 요구사항을 다시 한 번 전했지만, 서울시측은 시간을 갖고 기다려 달라는 입장만 되풀이한 것으로 전해졌다.

면담에 참가했던 장애인단체 관계자는 “아직도 서울시는 자립주택에 대한 명확한 개념조차 없다”며 “보건복지가족부와 국토해양부가 나서서 해야 할 일이라며 지자체의 책임을 회피하고 정책논의기구 설립에서조차 장애인들간 의미 없는 논쟁만 불러일으키려한다”고 비판했다.

서울시 장애인복지과 관계자는 면담 결과를 묻는 에이블뉴스의 인터뷰 요청에 대해 “할 말이 없다. 면담에 참여한 장애인단체측에 확인하라”고 답변했다.

지난 6월 4일 S시설에서 스스로 퇴소해 서울 대학로 마로니에 공원에서 노숙농성을 벌여온 장애인 8명은 면담이 열리기 직전인 6일 오후 1시께부터 국가인권위원회 11층 배움터를 점거하고 농성을 벌이고 있다.

국가인권위원회 11층에서 점거농성을 벌이고 있는 장애인들의 모습. ⓒ에이블뉴스

7일 서울시의회 시정질문에서 나은화 서울시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는 오세훈 서울시장. ⓒ에이블뉴스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