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12월 1일부터 시행되는 LPG 사용량 제한정책에 반대하는 장애인들의 반발 투쟁이 조직화되어가고 있다.
정부의 이번 정책에 반대하는 장애인들은 LPG사용량 제한철폐 및 면세유 쟁취를 위한 범장애인비상대책위원회(위원장 하영택, 이하 LPG비대위)를 구성하고, 23일 오후부터 ‘장애인LPG사용량제한철폐를 위한 준법투쟁’에 돌입했다.
이번 준법투쟁은 시민들에게 LPG정책의 부당성을 알린다는 취지로 마련됐으며, 매일 오후 2시부터 5시까지 용산구 삼각지와 광화문 정부중앙청사를 법정 최저속도인 시속 40km로 순회하는 일종의 차량시위다.

23일 첫날 투쟁에는 ‘LPG사용량 제한철폐! 장애인차량 면세유 쟁취!’라는 구호를 적은 소형 플래카드를 부착한 약 30대의 장애인차량이 동참, 서울 용산구 갈월동 소재 한국장애인고용안정협회 사무실 앞 도로에 집결했다. 이들은 애초 오후 2시경부터 투쟁을 시작하려했으나 경찰의 원천봉쇄로 한발자국도 움직이지 못하고 있다.
경찰은 장애인들의 투쟁이 도로정체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과 플래카드를 부착하고 집단적으로 차량으로 이동하는 것이 불법시위라고 LPG비대위 측에 전했다.
이에 대해 LPG비대위는 “우리가 준법투쟁을 하는 도로는 원래 시속 40km도 제대로 나오지 못하는 구간이며, 도로정체를 유발하면 시민들의 반발을 받고 그렇게 되면 오히려 부작용이 날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도로정체를 유발할 마음도 없다”고 일축했다.
또 LPG비대위는 차량부착물과 관련해 “서울시내에 다니는 택시들도 LPG 특소세 철폐를 주장하는 부착물을 차량에 부착하고 다니는데 왜 장애인들이 달면 불법이라고 하느냐”며 강하게 반발했다.
LPG비대위 하영택 위원장은 “정부가 LPG 사용량 제한 정책을 철폐할 때까지 무기한으로 준법투쟁을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하 위원장은 “조금 있으면 서울과 같은 방식으로 지방에서도 준법투쟁이 시작될 것”이라며 “이를 위해 현재 지방 조직들과 긴밀하게 회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