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장애인자립생활센터총연합회(이하 경자연)가 지난 11일 수원 광교 경기도의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경기도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지원 예산 삭감 철회를 촉구했다.ⓒ경기도장애인자립생활센터총연합회

【에이블뉴스 이슬기 기자】경기도장애인자립생활센터총연합회(이하 경자연)가 지난 11일 수원 광교 경기도의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경기도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지원 예산 삭감 철회를 촉구했다.

경자연에 따르면, 최근 발표된 경기도의 2026년도 예산(안)에서 55개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도비 지원 예산을 기관당 6000만원이 삭감됐다.

이에 경자연 소속 장애인자립생활센터 활동가 150여 명이 예산 삭감에 대해 강력히 규탄하고, 경기도청 집행부의 진정성 있는 사과와 김동연 도지사와의 면담을 촉구했다.

경자연 이민선 권리보장위원장은 “경기도가 여러 차례 장애인자립생활지원 예산의 필요성과 현실화를 약속해 놓고도 결국 2026년도 예산안에서 대폭 삭감했다”면서 “이는 단순한 행정상의 조정이 아니라 장애인의 생존권을 예산으로 계산한 비인권적 결정이다. 그 과정에서 단 한 번의 사과나 해명조차 없는 경기도청의 태도는 장애인 도민을 무시한 무책임하고 뻔뻔한 행정”이라고 강하게 지적했다.

경자연 송기태 대표는 “이번 예산 삭감에 대해 깊은 참담함을 느낀다”며 “경기도는 예산을 줄일 것이 아니라 장애인의 삶을 지키는 복지의 본질을 회복해야 한다. 장애인자립생활 지원 예산은 선택이 아니라 권리를 지탱하는 최소한의 약속이다. 그 약속을 저버린다면, 경기도정은 더 이상 도민의 정부일 수 없다” 라고 강조했다.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총연합회 진형식 상임대표는 “복지정책이 잘 수립이 될려면 소통이 잘 이루어져야 한다”라고 운을 떼며 “그러나 경기도는 장애인자립생활센터와의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예산을 삭감하고 있다. 이는 행정의 실패이며, 반인권적 결정”이라고 비판했다.

 용인시장애인자립생활센터 김정태 센터장은 “김동연 도지사는 다른 정치 현안에는 즉각 반응하면서, 정작 장애인 자립생활 지원에는 침묵하고 있다. 지금이라도 장애인 당사자와 정기적 소통 창구를 마련해야 한다”며 김동연 지사의 책임있는 태도를 촉구했다.

한편 경자연은 오는 19일까지 김동연 지사와의 공식 면담을 요청한 상태며, 예산 삭감 철회와 예산 증액이 실현될 때까지 투쟁을 지속할 예정이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