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대
국회 국정감사가 한참 진행 중인 14일 오전,
국회 앞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가 무색할 정도로 많은 인파가 몰렸다.
국감에서 자신들의 목소리를 반영해달라는 1인시위 피켓과 현수막을 들며,
국회를 오가는 사람들의 시선을 끌기 위한 그들 사이에서 파란 조끼를 입은 낯익은 얼굴을 만났다.
‘
장애인 활동지원은 공공운영 확대가 해답!’라는 두 개의 피켓을 들고 있는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 전국
활동지원사지부
김영이 지부장(53세, 여).
24시간 근무 후 오전 7시에 퇴근한 김 지부장은 피곤함을 무릅쓰고, 경기 의정부에서
국회가 위치한 서울 영등포구까지 2시간을 걸려 이 자리에 왔다고.
“이 좋은 계절에 국회 앞에 온다는 현실이 슬퍼요. 퇴근해서 쉬지도 못하고 이곳에 와서 1시간 1인시위 후, 2시간 걸려 또 돌아가면 하루를 반납하다시피 하는 거죠.” 김 지부장은
코로나19 감염병으로 인해
활동지원사들은 비대면 근무가 불가능한 근무 특성, 서비스 중지 요구 시
생계유지가 불가능한 양극단의 어려움을 동시에 겪고 있다고 했다. 실제로 그의 생활도
코로나19 전후로 180도 바뀌었다.
“
코로나19 전에는 이용자가 직장생활을 했는데, 지금은 거의 집에서 재택근무를 하셔서 집에 있는 생활이 너무 많아요. 전에는 사회생활이 많다면, 요즘은 신체지원, 요리지원, 가사 활동에 집중하고 있죠. 그러다 보니 이용자도 짜증이 심하고, 저도 스트레스가 많은 상태입니다.”
활동지원서비스와 같은 바우처는 이용자에게 직접 서비스를 제공할 때만 비용이 발생하고, 이것 일부가 임금으로 지급된다. 만약 이용자가 감염 우려로 인해 서비스 중지를 요구하거나 자가격리에 들어갈 경우 노동자의 임금은 한 푼도 발생하지 않는다. 경기 의정부에서도
장애인 이용자가 자가격리를 하는 2주간 무급으로
생계위협에 처한 사례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