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 퇴소는 사형선고” VS “탈시설 당연한 권리” 한편, 이날 면담이 열린 3호선 경복궁역에서는 ‘
탈시설’ 정책을 두고,
전장연과 거주시설 이용자 부모들의 첨예한 대립도 벌어졌다.
이날 면담에 앞서 7시 30분경 전국
장애인거주시설이용자부모회가 소복을 입은 채, ‘장차연(
전장연)과
탈시설을 논하지 말라’는 피켓을 들고, 기자들을 향해
“시설 퇴소는 사형선고”라고 외쳤다.
김현아 공동대표는 “3만명의 거주시설 거주인 중 80%가 발달
장애인이며, 98% 이상이 중증이다. 이들은 시설 선생님조차 버거워하는데, 어떻게
탈시설 대상이 될 수 있냐”면서 “복지부에서조차
탈시설 로드맵이 잘못됐다고 말씀하시는데 부모들의 의견을 반영하지 않은 채 (
탈시설을) 실행하는 것은 명백한 오류다. 발달
장애인과 지체
장애인을 반드시 구별해 정책을 세워야 한다”고 피력했다.
이어 그는 “
탈시설은 3만의 거주인이 나왔을 때 50만 일자리가 나오는
탈시설 사업이다. 기존의 보호와 요양 역할을 하는 거주시설과는 달리
탈시설 자립지원주택에는 의료 지원이 없다. 한 자립주택에 거주하던 거주인이 욕창이 번져 사망했다. 의료지원이 없는 자립지원주택은 감옥이나 마찬가지”라면서 “장차연(
전장연)이 말하는 ‘거주시설은 감옥’이란 말은 오류다. 자식을 어떻게 감옥에 가두겠냐. 시설은 제2의 집”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이들은
전장연이 면담을 마친 후 입장을 밝히는 기자회견에서도 피켓을 들고 침묵시위를 이어가다가, ‘같이 서자’는 박경석 상임공동대표의 말에 자리를 떠났다.
박경석 상임공동대표는 “부모님들께서 저희보고
탈시설 논할 자격이 없다고 하시는데, 저희가 논한 것이 아니고 대한민국이 가입한 유엔
장애인권리협약 제19조와 일반 논평 5에 ‘
탈시설 해야 한다’는 명확한 근거가 있다.
장애인단체의 이야기가 아니다”라고 이들의 주장을 반박했다.
또한 “거주시설에는 무연고자가 굉장히 많다. 그들도 거주시설 부모들의 독단적인 몫이냐. 사회와 국가의 책임 문제며, 그 내용 또한
장애인권리예산에 있다. 올해 거주시설 예산이 6224억원인 반면
탈시설 예산은 기껏 24억원이다. 우리의 주장이 관철될 수 있도록 힘을 실어달라”고 당부했다.
전장연이
인수위에 요구한 ‘
장애인권리예산’ 속에는 내년
탈시설 예산을 올해 24억원에서 788억원까지 보장하는 내용이 담겼다. 나아가 거주시설 예산 수준인 6224억원까지 확대할 것을 요구한 상태다.
전장연은 이날 면담 후, 전날과 같이 26번째 ‘출근길 지하철 탑니다’ 선전전을 이어 나갔다. 3호선 경복궁역에서 4호선 충무로역으로 환승, 혜화역 승강장에 도착해 78일차 출근 캠페인까지 마쳤다. 이날 입장을 정리해 30일 지하철 타기 선전전 여부를 밝힐 예정이다.
-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