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결과, 총 7만4320건(1km당 44건)이 설치기준에 맞지 않거나 교통약자
보행에 불편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개 조사항목 중
횡단보도(턱낮춤,
점자블록) 시설이 전체의 40.5% (3만114건)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횡단보도 진입부에는 휠체어·유모차 이용자 등이 불편 없이
보행할 수 있도록 단차를 2cm이하로 설치되어야 하고 시각
장애인의 안전을 위해
점자블록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그 다음으로 지적건수가 많은 시설로는 자동차진입억제용 말뚝 35.4%(2만6330건), 시각
장애인 음향신호기 19.5%(1만4525건) 순이었으며, 주요
보행불편 사유는 이들 시설은 시각
장애인이 인지할 수 있도록 시설 전면 30cm 위치에 ‘점형’
점자블록을 설치해야 하는데
점자블록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시설이 많았다.
시는
보행불편사항 중 즉시 정비가 가능한 시설부터 순차적으로 정비할 예정이며, 추후
장애인단체와 협의를 통해 시급성을 감안한 우선정비 필요지역에 대해서 먼저 정비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특히,
횡단보도의 ‘턱낮춤과
점자블록’은 교통약자 중에서도
이동권에 가장 취약계층이라 할 수 있는 시각
장애인과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안전과 직결된 만큼 2016년부터 별도 사업으로 예산을 확보해 중점 정비를 완료했으며, 향후에도 교통약자의
보행량이 많은 지역을 선정해 정비를 실시할 계획이다.
아울러,
서울시는 이번에 최초로 실시한 실태조사를 보완해 조사 방법론을 표준화(매뉴얼화)하고, 매 5년마다 수립하는 법정계획인 ‘
서울시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 5개년 계획’ 수립시 과업내용에 포함해 시행하는 등 보도분야 교통약자 이동편의시설 실태 전수조사를 정례화해 체계적으로 관리 정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황보연
서울시 도시교통실장은 “기존 교통약자 이동 편의시설의 유지·관리뿐만 아니라, 시설물 설치 전인 설계, 시공단계에서부터 교통약자를 위한 사항을 먼저 검토해 누구나 편리하게 걸을 수 있는 보도 환경을 조성하는데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