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서울시가
장애인을 대상으로 총 102호의
자립생활주택을 제공하고, 보증금과 월세도 지원할 방침이다.
서울시는 2019년
예산안을 35조 7843억원으로 편성, 1일
서울시의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올해 첫 30조를 돌파한 데 이어 35조를 넘어선 역대 최대규모
예산안이다. 특히 복지예산이 내년 10조원대를 첫 돌파한 11조 1836억원을 배정했다.
먼저
장애인, 노숙인 등 취약계층의 주거자립을 위한 주택 300호를 확보해 지원한다.
장애인 82호, 정신
장애인 20호 등 총 102호의 취약계층
자립생활주택을 지원한다. 시가 주택을 제공하고 보증금과 월세도 지원하는 방식이다.
또
장애인, 노숙인 등 시가 주택만 제공하는 ‘취약계층 지원주택’도
장애인 80호, 노숙인 138호, 어르신 40호 등 총 258호를 공급한다.
장애인활동보조 지원 예산도 2618억원으로 편성, 24시간 서비스, 고령
장애인 대상 돌봄서비스, 발달
장애인 주간활동 등 장애정도, 연령 등을 고려한 맞춤형 서비스를 대폭 확대한다.
돌봄으로 지친 가족과 종사자를 위해 ‘
장애인 어르신 돌봄가족 휴가제’에 15억원을 투입,
장애인 가족 2850명, 어르신 가족 1000명의 가족이 휴가를 다녀올 계획이다.
이외에도 내년 3월 89억을 들여 서울사회서비스원을 개원,
장애인 활동지원사 등 사회복지분야 종사자들을 직접 고용해 처우를 개선한다. 4개 산하센터는 7월 개소할 예정.
그 외 복지정책으로, 찾아가는 산후조리사를 전 계층으로 확대한다. 조소득과 장애산모는 본인부담 30%로, 기타 대상은 본인부담 약 50%로 이용 가능하다.
내년부터 민간어린이집 차액보육료를 지원하고, 국공립 어린이집 100개소를 추가 확충해 이용률을 40%까지 확대한다.
이웃과의 교류가 끊긴 독거중년 등 돌봄 사각지대에 있는 대상들에게 돌봄서비스를 제공하는 돌봄SOS센터를 2개소, 24개구에 우선 실시한다.
건강취약계층에게 질 높은 방문 건강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찾동 방문간호사도 771명 늘려 동별로 1.8명씩 운영할 방침이다.
-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