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각지대 해소? 하나님 오신 줄”, “예산 문제 절대 안 바꿔”이날 토론자로 참석한 장애계 관계자들도 ‘
장애등급제 폐지’ 시행 이후, 체감되는 점이 없다는 점에 공감했다.
하루 30분
활동지원 시간 확대로 발달장애인 돌봄의 부담을 덜지 못했으며, 등급제가 폐지돼도 전동휠체어 급여기준은 변하지 않은 점, 논의 테이블 조차 앉지 못한 청각장애인 현실도 털어놨다.
전국장애인부모연대 윤진철 국장은 "복지부는 서비스 지원종합조사가 도입되면서 발달장애인의
활동지원 서비스 시간이 지적장애인 89.1시간에서 106.1시간, 자폐성장애인은 92.1시간에서 108.5시간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하루 30분 시간 증가한 사례로 자화차찬했다"라면서 "하루 30분 늘어서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이 개선되고, 복지사각지대가 근본적으로 개선할 가능성을 봤다고 해서 순간 하나님이 오신 줄 알았다. 가능한 사고방식이냐"고 질타했다.
이어 윤 국장은 "물에 빠진 사람이 있으면 바로 건져내야 하는데, 복지부의 행태는 10미터 빠진 사람을 1미터로 올려놓는 것에 불과하다"면서 "결국 건져내지 못했고, 숨이라도 쉴 수 있어야 하는데 여전히 숨을 못 쉬게 만들어놨다. 발달장애인 돌봄에 대한 부담은 결국 가족에게 전가되고 있다"고 피력했다.
한국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 최명신 사무처장은 "장애등급제 만큼이나 보조기기 지원도 중요한 문제인데, 정부는 예산 문제에 대해서 절대 바꾸지 않는다. 뇌병변장애인은 장애특성으로 인해 맞춤휠체어를 지원해야 하는데, 전동휠체어 건강보험 급여가 10년이 넘도록 209만원이다. 등급제가 폐지되도 보조기기 지원은 변한 것이 없다"면서 "지원 기준을 500만원 대로 변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애의 벽을 허무는 사람들 김철환 활동가는 "현재
장애등급제 폐지는 청각장애인에게는 억지로 끼워맞춰진 옷이다. 청각장애인이 정말 필요한 의사소통, 정보 접근 문제를 해소할 수 없기 때문”이라면서 “일상생활에 수어통역사를 요구하고 싶어도, 문제를 지원받고 싶어도, 생계를 위해 의사소통 서비스를 요구하고 싶어도 이야기 조차 할 수 없다"면서 정책에서 소외되고 논의조차 안 되는 청각장애인들의 현실을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