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의 2015년 연중 캠페인 ‘바른 말 쓰기부터 함께해요’, ‘장애우 사용 금지’, 말이 아닌 행동으로 옮겨야!

2015년 4월20일 장애인의 날을 기념하여 보건복지부는 ‘장애우·장애자는 장애인으로, 일반인·정상인은 비장애인’으로 통일하는 단일 용어를 제시하며 용어 논란을 깔끔하게 정리한 바 있다.

일부 ‘정치적 레토릭’이라는 부정적 기류가 있었으나, 대부분 지긋지긋한 ‘장애우’ 용어 종식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며 환영하는 분위기였다.

‘병신, 불구자, 애자, 장애자, 장애우’ 등의 언어를 거쳐 현재의 ‘장애인’에 이르기까지 장애인 당사자의 인권이 신장됨에 따라 장애에 대한 용어도 함께 변천하며 진화한 것은 분명하다.

근저에 ‘장애인당사자주의’ 진영의 끈질긴 반대와 저항이 자리한 것 또한 사실이다. 2015년의 시계를 살펴봐도 여전히 장애인당사자들의 ‘장애우’ 지칭과 사용은 알레르기 반응 일색이다.

기실 1980년대 사업, 재정, 조직 등을 키우기 위해 교묘한 수법으로 ‘장애우’를 끼워 팔며 개인 인맥, 돈, 유력 정치세력을 아군화하는 고전적 수법이 전성기를 누렸던 시절이 있었다. 실제 그때 그 시절, 재미 좀 본 장애인단체도 분명히 있다.

인정한다. 장애우를 고집하는 과거 집착형 집단의 질긴 반발도 분명히 있을 게다.

왕년에 정치계에 몸담았던 일부 인사들의 버티기도 있을 수 있다. 그렇다고 무기력하게 손 놓고 기다리기만 해서야 되겠는가!

보건복지부는 ‘바른 말 쓰기부터 함께해요’ 캠페인 이후 현재 시점에 이르기까지 ‘장애우’를 사용하는 사단법인 또는 사회복지법인에 대해 단체명 변경에 대한 최소한의 권고라도 내렸는지 답해야 한다.

‘장애우’를 마치 상술로 이용하는 기막힌 사실은 여전히 우리 곁에 있다. ‘장애우’란 표현을 널리 애용하고 있는 대표적 집단인 서울시는 아예 영등포역에 ‘기부건강계단’ 사업을 통해 ‘환우와 장애우’를 교묘하게 병렬하며 기부를 애걸복걸하고 있다.

정계·재계·장애계를 망라하여 장애인이라 쓰고 ‘장애우’라 읽는 이른바 비정상적 장애인복지정책 동업자들의 성찰을 촉구한다.

이제 ‘장애우’를 들먹이며 장애인시설에 기부를 강요하는 구시대적 관행은 일소해야 한다. ‘장애우’를 상품으로 내걸며 장애인단체의 밥그릇을 챙기는 고약한 행태는 멈추어야 한다.

‘장애우’는 이미 사회적 사망선고를 받았는데도, 종교계·문화예술계·정계 등의 이른바 오피니언 리더뿐만 아니라 장애계의 일부 지도자도 ‘장애우’를 단골로 삼으며, 장애인당사자들의 자존심을 긁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장애우’ 사용을 금지하는 단호한 의지를 보여야 한다. 단순한 일회성 캠페인이 아니라 보건복지부가 눈 크게 부릅뜨고 실천하고 있다는 사실만이 ‘장애인당사자’의 호응과 만날 수 있다.

2015. 7. 15.

사단법인 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에이블뉴스는 각 단체 및 기관에서 발표하는 성명과 논평, 기자회견문, 의견서 등을 원문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게재를 원하시는 곳은 에이블뉴스에 성명, 논평 등의 원문을 이메일(ablenews@ablenews.co.kr)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