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장애인거주시설 월동대책비·중증장애인 가구 응급안전서비스 지원
【에이블뉴스 이슬기 기자】서울시가 오는 15일부터 내년 3월 15일까지 4개월간 시민들이 안전하고 따뜻하게 겨울을 날 수 있도록 ‘2025 겨울철 종합대책’을 추진한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대책은 기후 재난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피해를 줄이고, 노숙인·쪽방주민·저소득 어르신 등 취약계층 보호에 중점을 뒀다.
먼저 실시간 한파 상황관리를 위해 종합지원상황실 및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하고 겨울이 더 춥게 느껴지는 노숙인, 쪽방주민 등 한파 약자 지원을 강화한다.
한파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노숙인을 위해선 평상시(51명) 2배 이상(최대 123명) 관리 인력을 배치, 거리상담과 순찰 횟수를 하루 4~6회 이상 실시하고 식사·잠자리·방한용품도 지원한다.
65세 이상 국민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기초연금수급자 중 돌봄이 필요한 어르신(4만1419명) 안전과 건강을 상시 확인하고 거동불편 저소득 어르신 2553명에겐 도시락·밑반찬도 추가로 배달한다.
독거어르신, 장애인, 만성질환자 등 건강취약계층은 동 담당 방문간호사(721명)가 건강관리와 한랭질환 예방법 등을 알려준다.
장애인 거주시설 40개소(1833명)에 월동대책비를 지원하고 독거·취약가구 중증장애인 2205가구에는 활동량 감지기와 응급호출기 작동 여부를 사전에 점검해주는 응급안전서비스도 실시한다.
취약계층 등을 위한 다양한 한파 대피공간도 운영한다. 쪽방촌 주민들을 위해 밤추위 대피소인 ‘쪽방촌 동행목욕탕(총 5개소)’ 운영하며,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을 대상으로 야간시간 대 한파 대피 목욕탕도 총 13개소 지정한다. 한파 대피 목욕탕은 자치구 협의 등을 통해 지속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취약계층 뿐만 아니라 시민 누구나 이용가능한 한파쉼터도 총 1457개소 운영하고, 한파 특보 발효 시에는 25개 자치구와 협업을 통해 한파쉼터 개방 여부를 매일 전수 점검하는 한편, 자치구청사를 응급대피소로 24시간 개방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난방비 부담을 느끼는 저소득층 21만 8426가구에는 난방 에너지원(전기·도시가스 등)을 구입·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바우처도 지원한다.
에너지바우처는 가구원 수를 고려해 차등 지급되며 소득과 가구원 기준 충족시 올해 연말까지 동주민센터에서 신청하면 된다. 사용은 내년 5월 25일까지 할 수 있다.
한파로 갑자기 생계가 어려워졌거나, 취약한 환경에 거주하는 시민들에겐 생계비(1인가구 73만원)와 의료비(최대 100만원), 10만원 이내 방한용품(전기매트, 침낭 등 방한용품) 등 ‘서울형 긴급복지’를 병행 지원한다.
사회복지시설 및 에너지 취약계층(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2만 3000가구에 난방물품 등을 지원하는 ‘서울에너지플러스사업’도 진행 중이다.
한편 취약계층 지원과 더불어 겨울철 빈번하게 발생하는 상수도 동파․동결 피해에 대한 신속한 복구를 위해 ‘상수도 동파대책상황실’도 가동한다. 노후된 복도식아파트 등 32만여 세대를 대상으로 보온재 30여 만개를 설치하고, 기계식계량기 대비 동파에 약 4배 더 강력한 디지털계량기(건식)도 5만 250개 설치 완료했다.
정상훈 서울시 기획조정실장은 “겨울철 기후변화에 따른 다양한 위험요인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시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지켜나가겠다”며 “특히 한파에 취약한 이웃들이 소외되지 않도록 세심하게 지원해 ‘약자와 동행하는 서울’의 가치를 실천하겠다”고 말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