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와 기술로 설계하는 재활의 미래

‘가치 기반 재활’을 향한 국가 전략

2025-06-18     칼럼니스트 이동욱

【에이블뉴스 이동욱 칼럼니스트】 “재활의 목표는 단순한 회복이 아니라, 삶의 복귀에 있다.”

이 문장은 오늘날 보건의료 시스템이 직면한 전환기의 핵심 메시지를 담고 있다. 인구 고령화, 만성질환의 만연, 의료비용 증가라는 삼중 압력 속에서, 재활 서비스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 요소로 부상하고 있다. 하지만 단순한 확대가 아니라, ‘가치(value)’ 중심의 전략적 재구성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성과 중심의 재활, 왜 지금 필요한가

데이터와 기술로 설계하는 재활의 미래. © Photo by MARIOLA GROBELSKA on Unsplash


맥킨지(McKinsey & Company)는 2022년 보고서에서 다음과 같이 강조했다.

“Value-based care requires providers to deliver better outcomes at lower costs—and to prove it with data.”

이는 ‘얼마나 많이 제공했는가’가 아니라 ‘얼마나 효과적이었는가’가 정책의 성패를 가른다는 의미다. 따라서 지금 필요한 것은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 체계, 그리고 그것을 뒷받침할 디지털 인프라의 구축이다.

재활 분야에서도 다음과 같은 변화가 요구된다.

  • 기능 향상률이나 삶의 질 변화 등 실질적 성과에 대한 측정과 추적

  • 실시간 데이터 수집을 통한 환자 맞춤형 경로 조정

  • 자원 배분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는 정량적 근거 제공

이러한 변화는 단순히 병원 내부의 경영 문제가 아니라, 국가 단위의 건강정책 효율성과 지속 가능성에도 직결된다.


Value-Based Rehabilitation: 세 가지 핵심 구조

맥킨지의 ‘가치 기반 케어’ 모델은 재활의 맥락에서도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핵심 축으로 적용 가능하다.

  1. 성과 측정 – 기능 회복, 재입원율, 사회 복귀율 등 정량화 가능한 지표 설정

  2. 보상과 인센티브 구조 개편 – 단순 치료 횟수 기반이 아닌, 결과 기반 수가 체계

  3. 기술의 내재화 – AI 기반 예측 모델, 웨어러블 센서, 원격 재활 시스템 등 디지털 툴을 통해 환자 중심 개입 실현

이러한 구조는 특히 공공의료 기반 시스템에서 재정 건전성 확보와 서비스 질 향상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는 전략이 될 수 있다.


기술이 정책이 될 때: 국가 사례

재활기술은 단순한 의료 장비를 넘어, 국가 정책과 맞물릴 때 비로소 사회적 파급력을 갖는다. 몇몇 국가는 기술을 전략적으로 배치하고 있다.

  • 캐나다: 기능적 전기 자극(FES)을 공공보험 급여항목으로 포함. 특히 척수손상 환자 대상 기술 적용이 확대되며, 지역 간 서비스 형평성 문제도 국가 차원에서 조정 중.

  • 싱가포르: 국가 ICT 정책인 ‘Smart Nation’의 일환으로 재활 로봇과 AI 분석 기반의 치료 추적 시스템을 공공병원에 배치.

  • 독일: 2024년 보조기기 급여 기준 개정으로 IoT 기반 기기, 스마트 보조도구가 건강보험 급여 대상에 포함됨.

이러한 접근은 기술을 단지 치료 보조도구가 아닌, 공공의료 전략의 한 축으로 통합한 사례로 주목된다.


전략을 설계하는 데이터: 인프라의 핵심

성과 기반 정책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데이터 수집과 해석이 가능한 인프라가 필수적이다.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시스템이 필요하다.

  • 국가 헬스 데이터 허브 구축: 치료 이력, 기능 변화, 환자 경험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

  • 연계형 플랫폼: 물리치료, 작업치료, 언어치료 등 다양한 전문가들이 데이터를 실시간 공유

  • 환자 중심 평가도구 통합: PROMs (Patient-Reported Outcome Measures) 등 환자 경험 기반 자료 수집

이러한 구조는 단순한 치료 효과 측정을 넘어서, 예산 계획, 정책 평가, 서비스 질 제고의 기준선이 될 수 있다.


결론: 회복을 넘어, 복귀를 설계하는 시스템으로

재활은 이제 단순한 의학적 영역이 아니다.
사회 복귀, 자립, 노동시장 참여, 지역사회 통합 등 삶의 질 전반을 설계하는 ‘사회 정책’의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전제가 필요하다.

  • 정확한 데이터 기반 평가

  • 성과 중심 재정 모델

  • 기술의 전략적 통합

  • 환자 중심의 가치 정의

이제는 ‘몇 명을 치료했는가’가 아니라, ‘누가 다시 삶으로 돌아왔는가’를 묻는 시대다. 재활 정책의 새로운 기준은, 기술과 데이터가 함께 설계된 ‘가치 기반 전략’이 되어야 한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