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이종성 의원(국민의힘)이 8일 지자체 중심의
장애인 생활체육을 활성화하고 체육지도자의 결격사유 및 자격 취소 사유에
장애인 차별행위 등을 추가하는 ‘
국민체육진흥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발의 했다.
1988년 서울올림픽과 패럴림픽대회가 개최되고 30년이 흐른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과 패럴림픽대회가 개최되면서
장애인 체육 역시 큰 변화와 발전을 이뤄냈다. 하지만
장애인 체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시설은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최근 문화체육관광부가 발표한 ‘2020년
장애인 생활체육 실태조사’에 따르면
장애인 생활체육 참여율은 24.2%로 국민 생활체육 평균 참여율 60%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해
장애인들의 참여율은 여전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이종성 의원은 ‘
국민체육진흥법’을 개정해 지방자치단체에 지역
장애인체육진흥협의회를 구성하고 연 1회 이상
장애인 체육대회를 개최하도록 하는 등
장애인의 체육활동 증진 및 건전한 사회 참여를 촉진하고, 체육지도자의 결격사유 및 자격 취소 사유에
장애인 차별행위 등을 추가해 체육 분야의 장애 차별인식 개선은 물론
장애인 선수의 인권침해를 방지하고자 했다.
이 의원은 “
장애인 체육이 실질적으로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한
장애인 체육 프로그램 개발 및 육성, 접근성이 용이한 시설 확충 등 종합적인 지원정책들이 마련되어야 한다”며 “
장애인들이 생활체육에 쉽게 참여하고, 즐길 수 있는 환경이 더 많이 조성될 수 있도록 앞으로도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종성 의원은 지난 2009년부터 2012년까지 경력 개방직으로 문화체육관광부
장애인문화체육과 과장으로 근무하며
장애인 생활체육 지원을 확대하고,
장애인실업팀 창단지원사업을 통해
장애인선수 생활안정에 기여한 바 있다.
-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