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안리해수욕장 맞은편 수영구문화생활센터 건물 1층에는 여름행정봉사실, 광안리여름경찰서, 광안리U관광안내소가 있는데 입구가 계단임에도 시각장애인을 위한 손잡이와 바닥에 점자블록이 설치돼 있지 않았다. 더욱이 계단이기 때문에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이 접근할 수 없어 큰 문제다. ⓒ박종태

여름 휴가철. 사람들은 지친 일상을 뒤로 하고, 산으로 바다로 해외로 떠난다. 가족, 친구, 동료, 연인 등과 함께.

휴가지 중 해수욕장도 사람들이 많이 선택하는 곳이다. 하지만 장애인들은 휴가를 떠남에 있어 걸림돌이 있다. 바로 편의 시설이다.

이에 지난 24일과 25일 부산지체장애인협회 편의시설지원센터와 함께 부산지역 해수욕장 중 6곳의 장애인 편의 시설을 점검한 결과를 연재한다. 점검에는 센터 안정환 부장을 비롯한 직원이 참여했다. 세 번째는 부산시 수영구 광안해변로에 위치한 ‘광안리해수욕장’이다.

광안리해수욕장은 총면적 82,000㎡, 사장길이 1.4km, 사장폭 40~110m이며 서쪽 끝은 남천동에서 동쪽 끝은 민락동에 이르는 광활한 해수욕장이다. 아름다운 백사장이 끝없이 전개되어 해운대해수욕장과 더불어 가장 많은 인파가 몰려든다,

장애인 편의 시설을 살펴보면 광안리해수욕장 인도에는 시각장애인의 안전한 보행을 돕는 점자블록이 설치돼 있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의자와 같은 구조물이 많아 이동 중 안전사고가 우려된다.

또한 경사로가 백사장 초입까지만 설치돼 있어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은 바닷물에 가까이 접근할 수 없는 현실로 파레트를 한줄로 길게 설치, 접근성을 보장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광안리해수욕장 맞은편 수영구문화생활센터 건물 1층에는 여름행정봉사실, 광안리여름경찰서, 광안리U관광안내소가 있는데 입구가 계단임에도 시각장애인을 위한 손잡이와 바닥에 점자블록이 설치돼 있지 않았다. 더욱이 계단이기 때문에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이 접근할 수 없어 큰 문제다.

수영구문화생활센터 건물 1층 뒤쪽에 남녀장애인화장실이 마련돼 있으며, 입구에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을 위한 경사로가 양호하게 설치됐다. 반면 ‘장애인화장실 안내표지’가 없어 장애인들이 찾기에 어려움을 겪고, 이는 남녀비장애인화장실의 경우 안내표지가 있는 것과 대조된다.

남녀장애인화장실은 공통적으로 출입문이 접이식으로 손이 불편한 중증장애인이 이용하기 힘들고, 문고리 잠금장치 사용도 어렵다.

내부는 대변기와 세면대가 인접해 있어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이 이동하는데 방해를 받는다. 대변기에 등받이와 비상호출벨이 설치돼 있지 않았고, 세면대에 손잡이가 설치돼 있지 않아 목발을 사용하는 장애인이 넘어져 다칠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밑에 구조물이 있어 휠체어의 접근을 방해한다. 반면 대변기에 자동 물 내림 센서가 설치돼 있고, 휴지걸이는 대변기에 앉았을 때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됐다.

남녀비장애인화장실은 건물 지하에 마련돼 있는데, 계단으로 내려가야 한다. 하지만 계단에 손잡이가 설치도 있지 않았고, 바닥에 점자블록도 없다.

이에 대해 수영구생활문화센터 건물 관계자는 “수영구청에 건의해서 장애인이 불편한 사항을 개선하도록 요청하겠다”고 말했다.

광안리해수욕장 횡단보도 양쪽 인도에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블록이 설치돼 이지 않았다. ⓒ박종태

광안리해수욕장 인도에는 시각장애인의 안전한 보행을 돕는 점자블록이 설치돼 있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의자와 같은 구조물이 많아 이동 중 안전사고가 우려된다. ⓒ박종태

경사로가 백사장 초입까지만 설치돼 있어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은 바닷물에 가까이 접근할 수 없는 현실로 파레트를 한줄로 길게 설치, 접근성을 보장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박종태

수영구문화생활센터 건물 1층 뒤쪽에 남녀장애인화장실이 마련돼 있으며, 입구에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을 위한 경사로가 양호하게 설치됐다. 반면 ‘장애인화장실 안내표지’가 없어 장애인들이 찾기에 어려움을 겪는다. ⓒ박종태

남녀장애인화장실 출입문은 접이식으로 손이 불편한 중증장애인이 이용하기 힘들고, 문고리 잠금장치 사용도 어렵다. ⓒ박종태

남녀장애인화장실 내부는 대변기와 세면대가 인접해 있어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이 이동하는데 방해를 받는다. 대변기에 등받이와 비상호출벨이 설치돼 있지 않았고, 세면대에 손잡이가 설치돼 있지 않아 목발을 사용하는 장애인이 넘어져 다칠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밑에 구조물이 있어 휠체어의 접근을 방해한다. ⓒ박종태

남녀비장애인화장실은 건물 지하에 마련돼 있는데, 계단으로 내려가야 한다. 하지만 계단에 손잡이가 설치도 있지 않았고, 바닥에 점자블록도 없다. ⓒ박종태

남녀비장애인화장실 입구에 설치된 안내판. 장애인화장실 입구에 안내판이 없는 것과 비교된다. ⓒ박종태

*박종태 기자는 에이블뉴스 객원기자로 일명 '장애인권익지킴이'로 알려져 있으며, 장애인 편의시설과 관련한 분야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박종태(45)씨는 일명 '장애인 권익 지킴이'로 알려져 있다. 박씨는 고아로 열네살 때까지 서울시립아동보호소에서 자랐다. 그 이후 천주교직업훈련소에서 생활하던 중 뺑소니 교통사고를 당하고, 92년 프레스 기계에 손가락이 눌려 지체2급의 장애인이 됐다. 천주교 직업훈련소의 도움을 받아 직업훈련을 받고 15년정도 직장을 다니다 자신이 받은 도움을 세상에 되돌려줄 수 있는 일을 고민하다가 92년부터 '장애인 문제 해결사' 역할을 해왔다. 97년 경남 함안군의 복지시설 '로사의 집' 건립에서 부터 불합리하게 운영되는 각종 장애인 편의시설 및 법령 등을 개선하는데 앞장서왔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00년 6월 한국일보 이달의 시민기자상, 2001년 장애인의날 안산시장상 등을 수상하기도 했다. '해결사'라는 별명이 결코 무색치 않을 정도로 그는 한가지 문제를 잡으면 해결이 될때까지 놓치 않는 장애인문제 해결에 대한 뜨거운 열정을 갖고 있다.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