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50세, 장애인으로 산지 딱 절반이네요. 장애인이 된 후 두 번째 삶은 완전한 자립을 꿈꾸는 작가로, 많은 사람에게 그림으로서 내 이야기를 들려주고 싶어요.”중증장애인 이주연 (50세, 지체1급)
작가의 첫 개인전이 지난 25일 서울 종로구 혜화역
이음센터에서 시작됐다. ‘두 번째 삶을 보다’는 주제로,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꽃과 나비를 모티브로 삼아 총 25개 작품을 선보였다.
이주연 작가는 25세였던 1993년 6월, 결혼을 앞두고 빨래를 널다 추락해 경추 3,4,5번을 다쳤다. 도저히 가망이 없다며 장례까지 준비했던 이
작가는 기적같이 의식이 돌아왔지만, 몸 구석구석의
욕창으로 7년간 고생하다가 도저히 견딜 수 없어 가평
꽃동네에 입소했다.
“돈이 좀 있으면 병원에 가서 치료를 받는데, 돈이 없으면 월세방을 전전하고…도저히 안 되겠다 싶어서 시설로 갔어요. 무료로 들어갈 수 있었고, 그나마 대중들에게 개방된 곳이었으니깐요.”
2000년부터 14년을
꽃동네에서 살아온 그는 “제2의 삶을 살게 해준 곳”이었다고 했다. 죽음의 문턱에서 희망조차 없었지만, 조금씩 장애를 수용하고, 그림을 배워
작가로서의 인생을 꿈꾸게 한 것. 이날
이주연 작가의 전시 오프닝에는
꽃동네 관계자들과 거주인들이 찾아와 축하의 인사를 전하기도 했다.
“수녀님에게 ‘혹시 내가 할 수 있는 게 뭐가 있냐’고 물으니,
미술동아리를 추천해줬어요. 그냥 그때는 관심보다는, 내가 뭔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이 좋았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