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자폐성 장애학생들을 위한 음악교육 및 음악치료가 각 장애학생에 맞게 개별화된 목표를 갖고 실시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민주당 이낙연 의원과 (사)몸짓과 소리는 지난 5일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지적장애 및 자폐성 장애아동을 위한 음악교육과 치료에 관한 정책토론회’를 열고, 발전 방안에 대해 모색했다.

이날 이화여자대학교 정현주 교수는 주제발제를 통해 “우리나라의 특수교육자들과 음악치료사들은 오래전부터 음악활동이 장애학생의 전반적 발달과 교육에 크게 기여한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있고, 음악의 효과와 중요성에 대해 보고하고 있다”며 “음악치료가 교육현장에서 학습능력 및 동기 강화를 위한 정서함양과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입증되면서 음악치료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정 교수는 “동일한 교육 목표를 바탕으로 음악적 경험을 제공하더라도 장애학생들의 활동에는 제한점이 따른다”며 “그들을 위한 음악교육 활동은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화된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 교수는 또한 “음악교육치료를 활성화시키려면 ‘특수음악교육’의 전문성을 규명하고, 이를 위한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규명해야한다”며 장애에 대한 이해와 함께 음악 기술을 어떻게 접목할 것인가와 기능에 맞는 학습이 어떻게 이뤄져야 하는지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이에 대해 명지대학교 김수지 교수는 “현재 특수학교 및 일반학교 특수반을 보면 지적·자폐성 장애아동들이 주를 이루지만 동일한 목표의 수업이 이뤄지기에는 각 장애아동 개인이 가지고 있는 신체, 인지, 정서문제들이 매우 다양해 동일한 수준의 과제를 동시에 수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며 “제한적인 형태(일정시간 교육환경에서의 장애아동 배치)의 통합교육이 이뤄지고 있는 현재 다양한 수준의 교육적, 사회적, 정서적 요구를 가진 지적·자폐성 아동들의 개인 목표와 전체 음악교육목표의 다양성이 필요하다”고 지지했다.

이어 김 교수는 “교육의 진행방법에 있어서도 대그룹으로 이뤄지는 음악교육형태와 소그룹으로 이뤄지는 음악치료 형태의 융합은 서로 다른 교육적 필요와 기능수준을 가진 지적·자폐 아동들에게 효과적일 것”이라고 제언했다.

한신대학교 변경희 교수는 “다른 재활치료와 비교해 음악치료의 가장 큰 장점은 학교교육 과정 내 이뤄질 수 있다는 것인데, 2010년 개정된 특수교육 과정을 살펴보면 장애의 중증화 및 중복장애에 대한 고려 없이 계획됐다”고 지적한 뒤 “각 특수학교나 특수학급에서 음악교육을 각 장애학생의 개별적 특성과 차이를 인정해 개별적인 음악교육 및 치료가 제공될 수 있도록 실질적인 교육지침을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교육과학기술부 김은주 특수교육과장은 “이제는 특수교육이라는 커다란 틀이 갖춰져 있으니 장애영역별, 교육영역별 나눠져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음악이라는 것이 장애아동에 대한 효과를 부인하기는 어렵지만, 음악 자체적으로 치료의 효과와 교육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면서도 “장애학생에 따라 모두 다르다. 현재 우선적으로 교육을 가르쳐야 되는 현장에서 음악교육치료라고 해서 따로 개별화 교육과정을 담기에는 어려움이 있다”고 밝혔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