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에 시달리는 강박장애 환자 2명 중 1명이 젊은층인 것을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이 최근 5년간(2009~2013년)의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결정 자료를 이용, ‘강박장애(F42,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에 대해 분석한 결과다.

2일 평가원에 따르면 진료인원은 2009년 약 2만 1천명에서 2013년 약 2만 4천명으로 5년간 약 3천명(13.1%)이 증가했다.

최근 5년 간 강박장애 진료인원의 성별 점유율은 남성이 약 57.7%~58.2%, 여성은 41.8%~42.3%였다. 5년간 평균 성비(여성대비 남성)는 약 1.4 정도로 남성 진료인원이 여성 진료인원보다 많았다.

강박장애 진료인원의 연령별 점유율은 2013년을 기준으로 20대가 24%로 가장 높았고, 30대 21.2%, 40대 16.3% 순이었다. 이는 강박장애 환자 2명 중 1명은 20~30대인 것으로 나타낸다.

강박장애 증상은 실제로 일어날 가능성이 거의 없음에도 사고나 나쁜 일이 생기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끊임없이 하며 불안해하는 강박성 사고와 손 씻기, 청소하기, 헤아리기, 검토하기 등 특정행동을 여러 차례 반복하는 강박행위로 나눌 수 있다.

세부 상병별로 보면 강박장애 전체 환자 3명 중 1명(31.6%)이 강박성 사고에 해당하는 ‘강박성 사고 또는 되새김(F42.0)’이며, 강박행위에 해당하는 ‘현저한 강박행위(F42.1)’는 5.8%인 것으로 나타났다.

두 증상이 모두 나타나는 ‘혼합형 강박성 사고와 행위(F42.2)’는 전체 환자 5명 중 1명(19.2%)인 것으로 집계됐다.

평가원은 “강박장애의 원인으로는 유전적요인 등 생물학적 원인과 심리적 원인이 있다”면서 “다른 연령층에 비해 20~30대의 젊은층 환자들이 많은 이유는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불안감, 임신·출산 등의 스트레스가 주된 심리적 원인인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어 “치료는 약물치료와 정신치료, 인지행동치료가 있다”면서 “약물치료법이 널리 활용되는 편이나,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합한 치료법을 사용하거나 병행해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응원게시판] 소치장애인동계올림픽 선수단에 응원메시지를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