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샘추위가 매서운 현재 고용시장이 꽁꽁 얼어붙었다. 19일 통계청에 따르면 청년실업률은 10년 만에 사상 최고치인 10%를 기록했다. 대졸 여성 실업자도 19만 6천명으로 집계됐다. 이처럼 고용문제는 나이, 성별을 막론하고 풀어야 할 과제로 계속 남아있다.

그렇다면 장애인 고용은 어떨까? 위기, 또 위기다. 사실 장애인에겐 '위기'라는 말조차 쓸 만한 고용 기회가 주어지지 않는 게 현실이다. 특히 중증장애인은 더욱 그렇다.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은 장애인고용의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지난해 4월 특단의 대책을 내놓았다. 바로 '국회 내 중증 지적 자폐성 장애인 고용창출 프로젝트.'

지적·자폐성 장애인 7명, 당당히 국회로

"국회가 장애인고용에 앞장서지 못한 것을 미안하게 생각하며, 이렇게 훌륭한 제안을 해준 것에 감사드립니다. 국회에서 장애인을 고용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2009년 4월 7일 공단 측과의 면담에서 김형오 의장이 건넨 말이었다. 이후 4월 20일 국회사무처와 노동부 간 '장애인 고용확대 협약'이 체결됐다. 협약의 주요내용은 ▲국회 사무처 내에 장애인에게 적합한 일자리를 만들기 위한 직무분석 실시 ▲관련 규정 개정을 통한 채용 우대조치노력 ▲의원보좌직원의 장애인 채용 확대를 위한 홍보 노력 ▲장애인 근무자의 근무 환경개선 노력 ▲국회사무처에서의 장애인 고용 확대를 위한 협력사업 등이다.

지난해 10월 14일부터 공개 모집을 통해 선발된 7명의 지적·자폐성 장애인이 국회로 출근해 두 달 간의 현장적응 훈련을 가졌다. 국회 체력단련실에 2명, 인사과에 1명, 도서관 식당 및 본관 식당에 각각 2명, 도서관에 2명이 배치됐다. 현장적응 훈련 후 7명 전원은 '기간제 계약직 근로자'로 채용됐다. 현장적응훈련에 대한 평가가 4점 만점에 모두 평균 3점을 넘었기 때문이다.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한 장애인의 어머니는 "평생 살면서 세금 내는 게 이렇게 아깝지 않고 소중한 적은 이번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중증장애인이 국회에서 일할 수 있다는 것이 얼마나 큰 의미인지 대변해 주는 말이다.

장애인은 기간제 계약직…“일회성 사업 되지 말아야”

하지만 이번 국회 장애인 고용은 해결해야 할 과제도 많다는 점을 확인시켜주고 있다.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김대규 팀장은 지난 19일 서울팔래스호텔에서 열린 중증장애인 고용 문제의 해결책을 찾기 위한 'EDI 정책토론회'에 "지적·자폐성 장애인은 단순사무보조, 사서보조 등 각종 행정보조직무에 비교적 쉽게 적응한다. 하지만, 공익요원들과 인턴사원들이 이러한 직무에 배치돼 있어 중증장애인이 일자리를 갖게 될 기회가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이라고 전했다.

이어 김 팀장은 "중증장애인 고용은 본질적으로 정치적 힘의 뒷받침과 결단 없인 이루어지기 힘들다"며 "장애인 고용은 기관장의 의지가 가장 중요하고 장애인 고용환경 조성을 위한 인식개선 노력 의지도 필요하다. 결국 중증장애인 고용을 위한 정치적 결단을 촉구할 수 있는 사회적 힘, 즉 연대를 통한 힘의 결집이 요구된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국회도서관에 취업한 한 장애인의 어머니인 조양희 씨는 "아들은 '너 직급이 뭐냐'는 친척들의 질문에 '기간제 계약직 근로자'라고 대답을 듣고 가슴 한 켠에 일말의 불안감이 자리했다"며 "혹여나 이 사업이 일회성 선심성 행정으로 끝나서 이제 막 세상을 향해 자신 있게 내딛는 희망의 싹이 수그러질까봐 걱정된다"고 말했다.

조 씨는 "이 사업이 밑거름이 돼 끊임없이 노력하는 또 다른 발달장애아들에게도 자립의 꿈과 희망을 가질 수 있도록 국회 뿐 아니라 다른 공공기관에서 고용확대를 위한 배려와 지원을 해주길 부탁한다"고 전했다.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이 19일 서울팔래스호텔 스카이볼룸에서 중증장애인 고용 어떻게 풀 것인가'라는 주제로 'EDI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에이블뉴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