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서 전동
휠체어를 이용하는 B 씨에게 물었더니 전동스쿠터보다는 좀 낫지만 대동소이하다고 했다. 전동
휠체어는 전동스쿠터보다는 길이가 약간 짧아서 큰 문제는 없지만, 사람이 많으면 뒤로 밀리기는 마찬가지라는 것이다.
필자가 A 씨와 B 씨를 만난 것은 삼락 파크골프장에서다. 전동스쿠터를 이용하는 A 씨는 부산진구에 살아서 대체로
지하철을 이용하는데, 전동
휠체어를 이용하는 B 씨는 영도에 산다. 영도에는
지하철이 없다. B 씨가 집을 나설 때 저상버스가 도착하는 시간을 대충 감안해서 나오므로 영도에서 저상버스를 타고,
지하철 사상역은
엘리베이터 타기가 너무 어려워서 사상에서 김해 가는 경전철을 타고 르네시떼 역에서 내려서 파크골프장으로 간다고 했다.
부산
지하철역에는
엘리베이터가 양방향에 1대씩은 다 있다. 그런데 냉정역에는 2대가 있다. 냉정역은 예로부터 교통의 요충지였고 동서대 경남정보대 등 여러 학교가 밀집해 있어서
엘리베이터가 두 대라고 한다. 그런데
엘리베이터를 타는 사람들은 대부분이 젊은 대학생들이다.
장애인이 편리하면 모두가 편리하다. 모두를 위하여 편리하고 새로운 방법을 모색한 것이
장애인을 위한 배리어프리(Barrier-Free)와 모두를 위한 유니버설(Universal) 디자인이다.
그래서 고령자나
장애인들도 살기 좋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 물리적·제도적 장벽을 허물자는 운동을 하고 있다. 그러나 배리어프리나 유니버설디자인에서 정작 그 시설이 필요한
장애인은 뒷전으로 밀리고 배제되고 있으니 이 어찌 통탄할 일이 아니겠는가.
지하철 엘리베이터를 비
장애인은 제외하고
장애인만 이용하자는 것이 아니다. 다 함께 이용하되 비
장애인들은
엘리베이터를 서로 먼저 타려고 다투기 전에
장애인 등 교통약자를 위해 조금씩만 양보하는 배려를 좀 해 줄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것이다.
* 이복남 기자는 에이블뉴스 객원기자로 하사가장애인상담넷(www.gktkrk.net) 원장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