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국회앞에서 1인시위 중인 김영이 씨.ⓒ에이블뉴스

의정부에 살고 있는 김영이 씨는 11년 동안 '활동보조인'이란 이름으로 살았다. 2005년 생활도우미로 중증장애인을 케어하던 김 씨는 2007년 본격적으로 시작된 활동보조서비스, 현재 활동지원제도까지 모두 거친 산증인이다. “엄마”, “김영이 씨”라는 이름보다 “선생님”, “이모”가 익숙하다.

“11년 동안 저에겐 주말이 없습니다. 가족과 식사하고, 쉬고 싶습니다.”

3일 국회 앞에서 만난 김영이 씨는 “행복하지 않다”고 운을 뗐다. 물론 처음에는 일자리가 있다는 마음에 행복했고 주변에 권유도 많이 했지만, 11년 동안 처우 개선은 물론, 오히려 언제 잘릴지 모르는 두려움에 시달린다. 가장으로서 대학생인 딸을 위해 하루 12시간, 주말도 없이 일하고 있다.

자신의 도움이 없으면 침대에서 일어서지도 못하는 이용자를 케어하느라 온 몸에는 병이 들었다. “근골격계 질환, 손목, 통증 다 지니고 있죠. 몸이 더 안 좋아지는 것 같아요.”

주말, 하루 약 12시간정도 일하는 그녀가 손에 쥐는 월급은 160만원 정도에 불과하다. 올해 9240원 수가 중 75%인 7040원을 적용해 받는 금액이다. 최저시급을 약간 넘는 수준이지만 주말도 없이, 강도 높은 노동 시간이 긴 점을 고려하면 턱 없이 낮다.

‘일자리 대통령’을 약속한 문재인 정부가 국회에 제출한 일자리 추경안은 활동보조인 증가에 따른 예산 395억원만 포함될 뿐 처우 부분은 없다. 그마저도 여야문제로 제대로 논의조차 없는 현실.

3일 국회앞에서 1인시위 중인 김영이 씨.ⓒ에이블뉴스

사회서비스 제도개선 공동행동은 지난 6월 12일부터 장애인 활동보조 등 사회서비스 바우처 수가 최저 임금 부족분을 추경에 반영해달라며 1인 시위를 이어가고 있다. 당초 지난 6월30일까지 진행될 예정이었으나, 국회의 늦어지는 추경 논의로 인해 기간을 늘렸다. 김영이 씨는 전국활동보조인노동조합 위원장으로서 이번 1인 시위에 참여했다.

“10년을 일했으면 전문직이지만 받는 금액은 모두 같습니다. 급여가 안돼서 다들 그만 두기도 해서 선생님들이 모두 고령자지요. 저도 63세까지는 일해야 하는데….”

그래도 희망을 걸어보는 건 최근 조남권 보건복지부 장애인정책국장이 광화문1번가 포럼 자리에서 내년 활동보조 수가를 1만840원으로 인상을 약속한 점이다. 김 씨는 “기획재정부에서 깎이지 않고 이대로 반영됐으면 좋겠다”며 “일자리를 약속한 대통령이다. 우리의 목소리도 귀 기울여달라”고 말했다.

한편, 한국돌봄협동조합협의회는 오는 7일 오후2시 국회 제8간담회실에서 “사회서비스 수가 현실화를 위한 현장 증언대회”를 개최, 1인시위에 이어 연장선으로 수가 인상의 필요성을 공론화시킬 예정이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