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서울시청 지하1층 시민청에서 진행된 기자회견.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소속 회원들이 서울시를 향해 실효성 있는 이동권 보장계획을 촉구하고 있다. ⓒ에이블뉴스

서울장애인이동권 선언 1주년을 맞은 장애인들이 서울시를 향해 실효성 있는 이동권 보장계획을 촉구하고 나섰다.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는 2일 서울시청 지하 1층 시민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서울시는 실효성 있는 장애인 이동권보장 이행계획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서울장차연에 따르면 서울시는 지난 2015년 7월 민관 거버넌스를 구성한 후 12회의 의견수렴과 논의과정을 통해 같은해 12월 3일 세계장애인의 날에 맞춰 '서울 장애인 이동권 선언'을 선포했다.

또한 이동권 선언과 함께 시는 장애인 이동권 증진 실천계획을 수립했다.

이 안에는 전역사 1동선 확보를 위한 엘리베이터 설치, 저상버스 100% 도입, 장애인 콜택시 증차, 역사점자블록 정비, 역사 시각장애인 음성유도기 설치, 가로변 정류소 점자블록 정비, 역사 내 안내전광판 개선 등 세부계획이 담겨있다.

하지만 실천계획 이행에 관해 모니터링을 한 결과 다소 아쉬운 부분이 있었다.

시가 세부과제로 오는 2022년까지 전역사 1동선 확보를 위해 엘리베이터를 총 37개역사에 설치하기로 했으나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이 없다는 것이다. 시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연평균 5개 역사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해야 한다. 2016년에는 2개 역사에만 설치가 완료됐다.

저상버스의 경우 2025년까지 100% 도입하겠다는 목포료 진행이 되고 있으나 2016년 기준 계획부터 95대가 덜 도입됐다. 시는 2016년 447(신규347대 대폐차 100대)대를 도입하기 위해 계획을 수립하고 예산을 배정했지만 국토교통부가 95대에 대한 예산을 지원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특히 이와 관련된 2017년도 예산이 56억원 감액돼 내년도 서울시의 저상버스 도입계획 역시 불투명한 상태다.

또한 시는 2016년 장애인콜택시를 46대(신규 13대 대폐차 33대)를 도입할 계획이었으나 신규 13대만 도입완료했고 대폐차 33대는 교체되지 않았다. 휴무차량 전담운전원 160명을 충원할 계획이었지만 150명에 그쳤으며 휠체어 미이용 장애인을 위한 특별교통수단(개인택시)는 2017년 100대 도입을 목표했지만 2017년 예산에는 반영이 안됐다.

반면 시각장애인 이동권 보장을 위한 역사 점자블록 정비, 역사 시각장애인 음성유도기 설치와 청각언어장애인을 재난 시 안전을 위한 역사 내 안내전광판 개선, 역사 내 영상전화기 시범설치 등은 원래 계획대로 추진되고 있다.

(왼쪽부터)상상행동 장애와여성 마실 김광이 대표와 서울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최용기 회장이 발언을 하고 있다. ⓒ에이블뉴스

상상행동 장애와여성 마실 김광이 대표는 "위험한 리프트를 타는 등 지하철 역사를 돌아다니면서 투쟁을 했고 마침내 지난해 12월 서울시 장애인 이동권 종합계획이 발표됐다. 하지만 모니터링을 해보니 이행정도가 초기 계획에 비해 못미쳤다"면서 "이동권 실천계획이 제대로 이행될 수 있도록 투쟁해 장애인의 사회적 권리를 확보하자"고 목소리를 높였다.

서울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최용기 회장은 "작년에 서울시가 장애인 이동권 선언을 했다. 1년이 지났지만 장애인의 어떤 이동권이 달라졌는지 모르겠다. 광화문역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한다는 약속은 미뤄지고 저상버스 도입률은 달성되지 않고 있다"면서 "2001년 맨땅에 헤딩하는 심정으로 투쟁을 했고 여기까지 왔다. 더 투쟁을 해서 장애인이 가고 싶은 곳은 편리하고 안전하게 갈 수 있는 세상을 만들자"고 강조했다.

[2017년 에이블뉴스 칼럼니스트 공개 모집]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