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혜경 팀장이 6일 열린 2015 직업재활 국제학술대회에서 직업재활사의 역할과 기능이 재정립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에이블뉴스

직업재활사의 국가자격증 제도화를 위해 관련 학회, 협회 등이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가운데 선결과제로 직업재활사의 역할과 기능이 재정립될 필요가 있다는 제언이 나왔다.

한국장애인개발원 권익증진연구부 이혜경 자립지원팀장은 6일 여의도 이룸센터에서 한국직업재활학회 등이 주최한 ‘2015 직업재활 국제학술대회’에서 이같이 강조했다.

이혜경 팀장에 따르면 나사렛대학교, 대구대학교, 한신대학교 등 14개 대학 및 대학원에서 직업재활사가 양성되고 있으며 올해 1월 기준 총 4200여명의 직업재활사들이 배출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직업재활사들은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시설, 장애인 단체와 같은 장애인복지 관련 민간 영역 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고용노동부나 보건복지부 산하 공공기관, 특수교육 분야 등에까지 진출하고 있다.

하지만 장애인 복지 및 재활 환경과 제도가 변화되고 직업재활사의 역할, 배치분야가 다양해 짐에도 불구하고 직업재활 과정에 따른 역할의 기능만을 주요하게 제시되고 있다.

미국의 경우 재활상담사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분석은 1959년에 처음 시작됐으며, 1970년대 초반에 재활상담사 자격제도를 도입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또한 1985년부터 5년마다 기능과 역할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이 같은 연구는 재활상담과 관련된 주요 지식의 범위를 확인하고, 재활상담사가 필요한 역할과 기능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의학기술의 변화 등 새로운 현장에 맞춰 대응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에 따라 재활상담사의 역할도 의료 및 사회서비스 영역, 지역사회, 정부기관, NGO, 법정 서비스 등으로 다양화 되고 있고 이로써 핵심 학문영역도 넓어지고 있다.

이혜경 팀장은 “한국에서도 직업재활사의 주요 역할과 기능에 따른 핵심 학문영역을 구분하고, 학문영역별 필요한 세부 과목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이를 위해서는 우선 직업재활사의 역할과 기능을 재정립하는 것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6일 이룸센터에서 열린 2015 직업재활 국제학술대회 전경. ⓒ에이블뉴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