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암동성당 외부계단 한쪽 손잡이만 손잡이가 설치돼 있고, 점자블록은 설치돼 있지 않았다. ⓒ박종태

한국천주교 주교회의 사회복지위원회는 지난해 12월 3일 ‘세계장애인의 날’을 앞두고 전국의 성당을 비롯한 천주교 기관에 장애인 편의시설을 설치할 것을 권고했다.

장애인 등이 불편 없이 모든 행사에 참여하려면 모든 성당과 부속시설, 수도회 건물과 피정·교육 센터, 학교에 편의가 보장돼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전국 천주교 16개 교구의 일부 성당을 직접 방문해 권고의 움직임이 있는지 장애인 편의시설 수준을 점검, 연재한다.

아홉 번째는 광주대교구로 지난 9일 쌍암동성당, 장덕동성당의 장애인 편의시설을 점검했다.

■쌍암동성당= 외부에서 안으로 올라가는 계단에는 한쪽에만 손잡이가 설치돼 있고 점자블록은 설치돼 있지 않았다. 내부 계단도 역시 마찬가지였다.

내부 입구에는 턱이 없어 휠체어장애인들이 이용하기 편리하지만 출입문은 여닫이로 휠체어장애인들이 이용하기 불편했다.

미사를 보는 성당은 2층에 있었으며, 엘리베이터가 설치돼 휠체어장애인도 이동이 편리했다. 하지만 엘리베이터 버튼 밑에 설치돼야할 점자블록이 출입문 앞에 설치돼 방해가 됐다.

남녀비장애인화장실은 1~2층에 설치돼 있었으나 장애인화장실은 설치돼 있지 않았다. 또한 남자화장실 소변기에는 손잡이가 설치돼 있지 않았다.

비장애인화장실 입구에는 시각장애인이 성별을 구분할 수 있는 점자안내판이, 바닥에는 점자블록이 설치돼 있지 않았다. 1층 주차장에는 장애인주차공간이 마련돼 있지 않았다.

신부들이 미사를 보는 제대까지 경사로가 없어 휠체어장애인은 미사 때 제대 옆에 있는 독서대에서 성경봉독을 할 수 없었다. 고해실은 공간이 좁아 들어 갈 수 없었다.

■장덕동성당= 입구 계단에는 손잡이가 설치돼 있지 않았고, 점자블록도 없었다. 외부에서 2층 성당으로 올라가는 계단에는 한쪽벽면에만 손잡이가 설치돼 있었다. 점자블록은 없었다.

또 휠체어장애인들을 위한 경사로가 설치돼 있었지만 경사로 입구에 점자블록을 설치, 휠체어장애인들의 이동을 방해했다. 경사로 입구의 점자블록은 계단에 설치해야 한다.

외부 계단도 보면 한쪽에만 손잡이가 설치돼 있었고, 점자블록은 설치돼 있지 않았다.

건물에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돼 휠체어장애인도 미사를 보는 2층 성당까지 이동하는데 제약이 없었다. 엘리베이터 버튼아래 바닥에는 점자블록을 설치해 시각장애인의 편의를 도왔다.

1층에는 남녀비장애인화장실이 설치돼 있었다. 반면 장애인화장실 마크는 있었으나 남녀장애인화장실은 설치돼 있지 않았다.

비장애인화장실 벽면에는 점자안내판이, 바닥에는 점자블록이 설치돼 있었다. 외부 주차장에는 장애인을 위한 주차 공간 1면이 설치돼 있었다.

1층 소성당과 2층 성당에는 신부들이 미사를 보는 제대까지 경사로가 설치돼 있지 않아 휠체어장애인은 미사 때 제대 옆에 있는 독서대에서 성경봉독을 할 수 없었다. 고해실은 공간이 좁아 들어 갈 수 없었다.

쌍암동성당 전경. 쌍암동성당 뒤에는 2층의 교육관 건물로 연결돼 있다. ⓒ박종태

쌍암동성당에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돼 있다. 하지만 시각장애인들이 쉽게 버튼을 찾을 수 있도록 버튼 밑에 점자블록을 설치해야 하지만 출입문 바로 앞 바닥에 설치해 휠체어장애인이 출입하기 불편하다. ⓒ박종태

1~2층에는 남녀비장애인화장실이 설치돼 있으나 장애인화장실은 설치돼 있지 않았다. 비장애인화장실 입구 벽면에는 시각장애인이 성별을 구분할 수 있는 점자안내판이 설치돼 있지 않았고, 바닥에는 점자블록이 없었다. ⓒ박종태

쌍암동성당 1층 주차장에는 장애인을 위한 전용 주차공간은 없었다. ⓒ박종태

장덕동성당 외부 입구에서 내부로 들어가는 계단에는 손잡이와 점자블록이 없었다. 외부에서 2층 성당으로 올라가는 계단 한쪽에만 손잡이가 설치돼 있었다. 바닥에는 점자블록이 설치돼 있지 않았다. ⓒ박종태

장덕동성당 전경. 성당 뒤쪽에는 사제관 등이 있다. ⓒ박종태

장덕동성당에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돼 있었고, 엘리베이터 버튼아래 바닥에는 점자블록을 설치해 시각장애인의 편의를 도왔다. ⓒ박종태

장덕동성당 1층에는 남녀비장애인화장실이 설치돼 있었으나 장애인화장실은 설치돼 있지 않았다. 비장애인화장실 입구 벽면에는 점자안내판이 설치돼 있었다. 반면 바닥에는 점자블록이 설치돼 있지 않았다. ⓒ박종태

휠체어장애인의 이동을 위해 만들어진 경사로에 점자블록이 설치돼 있다. 휠체어장애인들은 점자블록이 있으면 이용이 불편하다. ⓒ박종태

*박종태 기자는 에이블뉴스 객원기자로 일명 '장애인권익지킴이'로 알려져 있으며, 장애인 편의시설과 관련한 분야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박종태(45)씨는 일명 '장애인 권익 지킴이'로 알려져 있다. 박씨는 고아로 열네살 때까지 서울시립아동보호소에서 자랐다. 그 이후 천주교직업훈련소에서 생활하던 중 뺑소니 교통사고를 당하고, 92년 프레스 기계에 손가락이 눌려 지체2급의 장애인이 됐다. 천주교 직업훈련소의 도움을 받아 직업훈련을 받고 15년정도 직장을 다니다 자신이 받은 도움을 세상에 되돌려줄 수 있는 일을 고민하다가 92년부터 '장애인 문제 해결사' 역할을 해왔다. 97년 경남 함안군의 복지시설 '로사의 집' 건립에서 부터 불합리하게 운영되는 각종 장애인 편의시설 및 법령 등을 개선하는데 앞장서왔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00년 6월 한국일보 이달의 시민기자상, 2001년 장애인의날 안산시장상 등을 수상하기도 했다. '해결사'라는 별명이 결코 무색치 않을 정도로 그는 한가지 문제를 잡으면 해결이 될때까지 놓치 않는 장애인문제 해결에 대한 뜨거운 열정을 갖고 있다.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