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3월 8일, “세계 여성의 날” 100주년을 맞이한다. 이 날은 미국 여성노동자들이 △아동, 청소년의 노동금지,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 △여성의 참정권 등을 요구한 날로 잘 알려져 있다. 우리 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이하 연구소)는 정치적 소수자로서, 사회의 비주류로서 여성 스스로가 남성주류사회에 당당한 주체로 사회참여를 요구하고, 자신의 인권을 확보하기 위해 스스로 단결하고 사회 제주체와의 연대를 실천했던 “세계 여성의 날”의 의미를 존중하며, 함께 기뻐하고 경축하는 바이다.

이 날을 맞아 우리 사회 구성원 모두가 한 번쯤은 지난 100년간 여성이 얼마나 인간답게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얼마만큼 노력하고 실천해왔는가를 되돌아보는 일은 매우 중요한 일일 것이다. 이를 통해 앞으로 다가올 100년의 그림을 함께 그려보는 것 역시 중요한 일일 것이다.

2007년 말 우리는 새로운 대통령을 뽑았다. 또한 18대 국회의원 총선거도 한 달여 앞으로 다가왔다. 현대의 민주주의 사회는 주류의 횡포에 맞서 정치적 소수자, 사회적 비주류의 인간다운 삶을 위한 최소한의 권리를 지켜내기 위해 정치, 경제, 문화, 노동 등 다양한 영역에서 정치적 소수자, 사회적 비주류의 참여를 강제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 몇 년간의 모습만 본다면, 앞서 말한 정치적 소수자, 사회적 비주류의 참여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의문을 품지 않을 수 없다.

수십억, 수백억에 달하는 재산을 지니고 성장과정에서 정치적 소수자, 사회적 비주류로서의 사회적 차별을 거의 느끼지도 못한 사람들이 단지, 여성이라서 혹은 장애가 있어서 주류사회에 참여하고 이들이 정치적 소수자, 사회적 비주류를 대표한다고 선전하는 것을 보고 있노라면, 많은 정치적 소수자, 사회적 비주류들은 분노를 넘어 허탈감마저 들지 않을 수 없다. 더 심한 경우에는 장애가 있는 여성 한 사람을 장애인으로서의 대표성과 여성으로서의 대표성을 동시에 주는 경우도 있었다.

적어도 정치적 소수자, 사회적 비주류의 대표라면 스스로가 정치적 소수자, 사회적 비주류로서의 사회적 차별과 이로 인한 분노를 함께 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100년 전 여성 노동자들이 거리로 나온 날을 아직도 함께 기뻐하고 함께 기억하는 것은 그들 스스로가 차별과 인권침해의 대상이었기 때문이다.

이제 총선과 임금협상의 시즌이다. 인구에 비례한 장애인의 정치참여, 장애인 의무고용비율 2% 준수는 결코 정당 지도부나 사업주의 선심으로 이루어질 수 없다. 아무도 이명박 정부 초대내각 여성장관 내정자들을 여성계를 대표하는 인물이 있었다고 보지 않는 것은 정치적 소수자, 사회적 비주류의 대표성을 결코 행정부 최고책임자의 잣대로 판단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들의 대표성을 판단하는 것은 정치학 박사도, 언론사 기자도 아닌 사회적 차별과 인권침해의 위험 속에서도 당당하게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이며, 이들과 함께 세파에 부대끼며 살아가는 5천만 연대인 것이다.

“그렇게 생각지 않는다면 연대하라” - “홍세화의 세상속으로” 中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