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원장의 부패행위 문제가 포함된, 2017년 7월1일부터 2018년 6월 30일까지 국민권익위원회가 평가한 공공기관 청렴도 문제가 도마 위에 올라, ‘억울한(?) 입장’에 처하기도 했다. 최 원장은 2018년 4월 17일 취임했다.
정의당
윤소하 의원은 “권익위 청렴도 평가에서 종합 5등급 중 4등급이다. 특히 기관 내 직원 업무처리 투명성, 부패방지, 부정청탁 등의 내부청렴도 점수가 더 낮다”고 질타한 것.
이에 최 원장은 “이 시기에는 채용 비리 등 안 좋은 일이 있었기 때문에 직원들 내부 간에 상호신뢰도가 낮았던 부분”이라고 해명했지만, “내부청렴도 문제는 조직운영 문제가 있다는 것”이라며, 최 원장의 해명을 단칼에 잘라버렸다.
더불어민주당 김상희 의원은 “중증장애인생산품 수의계약 대행 시 투명하고 공평하게 해야 하는데, 자체적으로 규정도 없는 점이 이해가 되지 않는다. 개발원하고 한국장애인직업재활시설협회가 알아서 하는데, 협회에 후원금을 주는 시설에게 그 혜택이 돌아가고 있다”는 점과, “수의계약 우선 배정방식이 85%나 차지해, 혜택을 못 받는 곳이 있다”며, 개발원의 업무 ‘투명성’ 문제를 짚기도 했다.
같은 당 정춘숙 의원은 직접적 질의는 없었지만, 보도자료를 통해 ‘장애인개발원, 갑질 행위자들 9개월째 방치’를 폭로하기도 했다. 정 의원은 개발원의 ‘2019 갑질 실태조사 결과보고’를 분석, 지난 1월 기관 내 갑질 행위자가 5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구체적 갑질 행위는 폭언, 모욕, 협박, 차별, 전가, 업무제외, 건의, 야근, 휴가 등 9개 유형으로, 개발원 측은 실태조사 이후 후속 조치를 갑질 가해자가 아닌, 일반 직원들에게 예방 교육 등을 실시한 것.
정 의원은 “사측이 방치하는 것은 문제”라면서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이 시행되고 있는 만큼 위반 소지가 있는지 조사를 진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