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당, 장애인활동지원 7000억원 증액 요구
2021년 예산안 검토·분석 발표…“단가·서비스양 확대”
에이블뉴스, 기사작성일 : 2020-11-04 13:41:31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대한 본격 심의가 이뤄진 가운데,
정의당이 장애인 활동지원 단가 및 서비스량 확대를 위해 총 7000억원의
예산을 증액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의당 정책위원회와 이은주 의원은 4일 정부의 555.8조원
예산안을 분석한 ‘
정의당 2021년도
예산안 문제점 검토·분석’을 내놨다.
정의당의 5대 증액요구안은 ▲공공의료의 책임성을 강화할 ‘공공병원 건립 및 공공병상 확보
예산’ (2.6조원) ▲장애인 활동보조 지원(7000억원) ▲‘학급당 학생수 개선’ 사업비 ▲일자리 유지를 위한 ‘정규직 전환 지원’ 사업비 ▲‘전 국민 상병수당’ 도입(1.4조원 ~ 2.8조원) 등이다.
복지분야를 살펴보면, 우리나라의 복지지출 수준이 매우 낮아 획기적인 확대가 필요하다면서, ‘부양의무제 기준 전면 폐지’, ‘
장애인활동지원’, ‘
저상버스 보급률 목표치 달성’을 위한
예산이 증액 편성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의당은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2019)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공공사회지출은 11.1%로 회원국 평균인 20.1%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며, 36개 회원국 중 가장 낮은 멕시코(7.5%), 칠레(10.9%)에 이어 꼴찌 수준”이라면서 “보건복지부
예산안은 90조1536억 원으로 전년 대비 9.2% 증가했으나 OECD 평균 수준으로라도 가려면 획기적 확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중 1조4990억9600만원으로 편성된
장애인활동지원 예산은 ‘장애인의 활동을 제약’한다고 평가하며, “장애등급제 단계적 폐지와 함께 활동지원서비스 이용자 수 증가, 서비스 시간 확대에 따른 개인별 지원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
장애인활동지원 단가 및 서비스량 확대가 필요하다”고 했다.
또 “
장애인활동지원사업의 낮은 수가에 따라 최저임금에도 미치지 못하는 문제로 활동지원사와 수행기관간의 법정 제수당 미지급과 관련 법정분쟁이 빈번하게 발생한다”면서 7000억원 증액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569억3000만원
예산이 편성된 ‘
저상버스 보급’ 관련은 정부 목표치에도 미달한다고 비판했다.
국토교통부는 ‘제3차 교통약자 이동편의증진계획(2017~2021)’에서
저상버스 보급률 추세를 고려해 2021년
저상버스 보급률 목표치를 전국 42%로 정했다.
정의당은 “2021년
저상버스 보급률 목표치를 달성하기 위한
저상버스 도입 대수는 서울시 4800대(부족분 855대), 광역시 4274대(부족분 1950대), 9개도 5502대(부족분 2755대)”라면서 부족분 5560대 도입을 위한 1883억원의 추가
예산이 필요하다고 피력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이슬기 기자
(lovelys@abl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