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복지전문지 복지신문의 기자 유코 미야케(31·여·Yuko Miyake)씨. <에이블뉴스>

일본에도 복지전문지가 있다. 바로 지난 1956년에 창간된 ‘복지신문’(The Fukushi Shimbun)이다. 이 신문은 현재 일본의 유일한 복지전문지다. 이 신문으로 주간으로 발행되고 있으며, 적을 때는 4면, 많을 때는 8면을 발행한다.

지난 8월 14일부터 25일까지 진행된 국제장애인권리조약 제8차 특별위원회에 이 신문에서 8년째 일하고 있는 유코 미야케(31·여·Yuko Miyake)씨가 현장 취재를 왔다. 유코 미야케씨와 인터뷰를 통해 일본 복지언론계의 현황과 국제장애인권리조약안과 관련한 일본 내 움직임들에 대해 들어봤다.

-미국에는 우리 신문과 같은 이름을 가진 '에이블뉴스'가 있고, 영국에도 장애인전문 언론이 있다. 우리나라는 장애인 언론을 비롯한 복지계 언론이 꽤 있다. 일본은 어떤가?

“다른 나라에 장애인언론이 있다는 것은 처음 알았다. 일본에서는 우리 신문이 유일한 복지계 언론이다. 몇 년 전에 복지전문 월간지가 만들어진 적이 있었는데, 지금은 그만뒀다. 장애인 언론은 전혀 없다. 한국의 상황이 매우 흥미롭다.”

-권리조약 회의를 취재하면서 처음으로 외국 언론사 기자를 만나서 참 반갑다. 우리나라 복지계 언론들은 모두 운영이 참 어렵다. 마땅한 수익구조가 없기 때문이다. 일본은 어떠한가?

“우리는 구독료를 받아 회사를 운영하고 있다. 현재 총 5만부를 발행하고 있다. 광고도 받기는 하지만 많지는 않다. 각종 복지관련 기업에서 상품을 소개할 조건으로 광고를 요청해오는데 모두 거절하고 있다. 이것이 바로 독자들로부터 우리가 지지를 받고 있는 이유라고 생각한다.”

-한국의 장애인 언론을 비롯한 복지계 언론들은 기자들이 수시로 바뀌는 문제점이 있다. 노동 강도는 높고 임금은 낮기 때문이다. 일본은 어떤가?

“우리도 같은 고민을 하고 있기는 하다. 어떻게 지원하면 오랫동안 근무할 수 있도록 할지 고민하고 있다. 나도 후배들을 키우는 문제에 중점을 두고 있다. 우리 회사에는 5명의 기자가 있는데, 나는 중간 정도의 위치다.”

-국제장애인권리조약 제정 이야기를 좀 해보자. 일본의 엔지오들은 국제장애인권리조약 제정 과정에 어떻게 참여하고 있나?

“매우 적극적이다. 매우 전략적으로 조약안의 제정 과정에 참여하고 있다. 이번에 이곳에 취재를 온 것도 엔지오들의 활동을 보고 관심이 끌렸기 때문이다. 우리는 특별위원회 현장에 온 것이 처음이다.”

-국제장애인권리조약 기사보다 국내 현안 이슈에 대해 관심도가 높다. 국제장애인권리조약안의 파급효과에 대한 인식이 높지 않은 것 같다.

“일본도 마찬가지다. 그래서 기사를 크게 다루려고 하고 있다. 이해하기 쉽게 기사를 다뤄서 장애인들이 조약안 제정이후의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싶다. 조약안에 따라 새로운 법률을 만들고 개정하는 운동에 힘을 실어주고 싶다. 당사자들이 많이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일본의 경우 거의 10년 동안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을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들었다. 이번 조약안의 통과로 기대가 좀 있겠다.

“그렇다. 조약안이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 운동에 많은 힘을 실어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마치 지렛대와 같은 역할을 해줄 것이라고 믿고 있다.”

-마지막으로 언론 이야기를 한 가지 더 해보자. 우리나라의 경우 종합일간지가 장애인 문제나 복지 문제에 대해 소홀하고, 다뤄도 오보를 내는 경우가 많은데.

“일본도 마찬가지 상황이다. 종합일간지에서 장애인 문제를 다루는 것에 대해 꺼린다. 장애인의 문제를 잘못 다루면 장애인들이 들고 일어나서 시끄러워질 것이라는 인식 때문이다. 취급을 아예 안 하는 것이 낫다는 판단을 하고 있는 것 같다.”

*이 기사는 연세대 사회복지학과 석사과정 김민아씨와 일본DPI 사무국 최영번씨의 통역 지원으로 작성됐음을 알려드립니다. 두 분께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