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장애인콜택시는 지난 2002년 12월 화려한 스포트라이트를 받으며 시험운행에 들어갔다.

"지금 장애인 콜택시 운전기사 아저씨가 관둔다는 소리를 하는데 우리는 이제 어떻게 해야 하나요."

지난 5일 사무실 출·근 때 장애인 콜택시를 이용하고 있다는 뇌성마비 1급 장애인이 본사로 전화를 걸어 장애인콜택시가 없어지지 않을까라는 불안감을 감추지 못했다.

이는 지난달 1일 본격 운행에 들어간 서울 장애인콜택시가 운행 두 달도 넘기지 못하고 운전자들의 불만의 목소리가 장애인 콜택시를 이용하는 장애인들에게 전해졌기 때문이다.

[관련기사]"장애인 콜택시타고 직장 다녔으면"(열린지평 윤두선 기자)

이와 관련 장애인콜택시를 운전하고 있는 김모씨는 "일반 택시 요금의 40% 수준인 이용요금을 받아 연료비를 충당하기도 부족한 형편인데 콜 전화료, 기타 차량 소모품 비용을 모두 부담하고 있다"며 "이래서는 한 가정의 가장인데 생계를 꾸려 나갈 수 없다"고 강하게 반발했다.

최모씨도 "오늘 가스 연료비로 2만2000원 들었는데 장애인 손님이 준 팁을 포함, 2만3000원의 수익을 올린 게 전부"라며 "출·퇴근을 위한 교통비, 식대, 콜 전화료 등을 따지면 서울시가 지원하는 한달 95만원의 봉사지원금을 받아 차량운행에 사용하면 쌀도 못 팔아먹는 현실"이라고 거들었다.

서울시 장애인콜택시 운전사 100명이 지난달 1일부터 23일까지 3일 10시간씩, 1일 12시간 근무 뒤 1일 휴무의 운행사이클을 반복해 한 대당 평균 38만여원의 운행수입을 올렸다.

그러나 운전사들은 시동을 운행시간 내내 켜놓고 콜을 대기해야 한다는 점과 차체(스타렉스) 휠체어리프트 등의 무게를 감안하면 연료비의 80%만이 운행수입이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는 38만원의 운행수입을 위해 가스 연료비 47만5000원을 넣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차가 막혀 시간이 조금 지체되면 전화를 해줘야해 한 건당 2통화 이상의 콜 전화를 사용하고 있다.

이와 관련 김무겸 서울시장애인콜택시 반장협의회 회장은 "장애인들은 몸의 상태가 안 좋아 온도에 영향을 많이 받아 도로에서 조금만 지체돼도 전화를 해야 한다"며 "최소 3통화를 사용하고 있어 연료비와 함께 운전자들이 부담을 느낀다"고 설명했다.

▲서울장애인콜택시 운전사들의 생계보장을 위한 연료비 지원 요구의 목소리가 높다.
특히 운전사들은 지난 2002년 12월9일에서 31일까지 23일 동안의 위탁보조금으로 1인당 소득세 3%와 주민세 0.3%를 제한 68만1575원을 받았다고 말했다. 이처럼 한 달에 한번 지원되는 위탁보조금 95만원은 모두 운전사들에게 돌아가는 것이 아니란 운전자들의 주장이다. 이 중 3% 소득세와 0.3%의 주민세를 공제한 91만8650원이 실제지급 받는 금액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 밖에도 세차 차량소모품 등의 차량운행에 필요한 비용, 식대가 모두 운전자의 몫으로 돌아가고 있어 실제로 운전사들이 손에 쥐게 되는 금액은 쥐꼬리 금액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이에 운전사 김모씨는 "다른 직장을 갖고 있는 것도 아니고 운전에 하루를 소비하고 있는데 최소한 쌀은 팔아먹을 수 있어야되지 않느냐"며 "이로 인해 현재 30여명의 운전사들이 그만 뒀고 현재 이직을 고려하는 운전자들도 많다"고 강조했다.

한편 김무겸 회장은 "운전사들은 연료비 100% 지원과 콜 사용료, 의료보험 및 국민연금을 원하고 있다"며 "콜 사용료를 포함한 연료비 산정을 검토 중인 서울시 장애인정책과의 지원대책에 따라 운전자들의 이직이 가속화 될 것"이라고 역설했다.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