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장애인자립지원주택 495호까지 확대
현재 170호 규모, 2022년까지…3종으로 나눠 공급
에이블뉴스, 기사작성일 : 2020-04-08 11:50:10
서울시가 현재 170호 규모인
장애인 자립지원주택을 오는 2022년 총 459호까지 3배 가까이 늘린다.
8일 시에 따르면
장애인 당사자의 다양한 니즈와 경제적 상황 등을 모두 고려해 각자 필요한 지원을 맞춤형으로 받을 수 있도록 3종의
주택사업을 시행한다.
주택 공급과 주거생활 서비스를 적절히 병행한다는 계획이다.
3종은 공공임대
주택 입주와 주거생활서비스가 동시에 이뤄지는 ‘
공급형 지원
주택’('22년 248호), 거주하고 있는 집에서 주거생활서비스만 받을 수 있는 ‘비
공급형 지원
주택’(22년 120호), 지역사회로 정착하기 전 자립생활을 체험해볼 수 있는 중간단계 주거형태인 ‘
자립생활주택’('22년 91호)이다.
‘
공급형 지원
주택’은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시작, 작년 한 해 68호를 공급했다. 작년 12월 수십 년 간
장애인거주시설에서 생활했던 발달
장애인 32명이
장애인 지원
주택에 첫 입주해 독립생활에 들어갔다. 시는 올해 60호를 시작으로 매년 60호씩 확대해 2022년까지 총 248호로 확대 공급한다.
SH공사에서 공공임대
주택을 제공하고, 서비스제공기관이 가사, 금전관리, 투약관리 등 다양한 주거서비스를 제공한다.
입주대상은
장애인거주시설 폐지로 자립생활이 필요한
장애인과, 독립생활을 위한 주거서비스가 지속적으로 필요한 서울 거주 만 18세 이상 발달
장애인이다.
‘비
공급형 지원
주택’은 본인이 거주하는 집에서 주거서비스만 지원받을 수 있는 사업이다. 공급일정과 지역이 제한적인
공급형 지원
주택의 한계점을 보완한 것이다.
2017년부터 2개 자치구(강남‧양천) 26호(자가형 21호, 체험형 5호)에서 시범사업이 추진돼 올해 3월 종료됐고, 이달부터 본 사업이 시작됐다. 2개 권역(동남권, 서남권) 40호(자가형 35호, 체험형 5호)에 주거서비스를 지원한다. 2021년에는 3개 권역(동남‧서남‧동북권) 80호, 2022년에는 4개 전 권역(동남‧서남‧동북‧서남권) 총 120호까지 확대한다.
‘비
공급형 지원
주택’ 중 ‘체험형’은 지역사회 자립을 전제로 단기(3개월~1년)로 공공
주택과 주거서비스를 함께 지원받는 사업이다. 거주 이후 개인
주택을 확보해 퇴거하는 것이 필수조건이며, 생활비 일체를 본인이 부담한다.
주거서비스는 주거관리 및 생활관리 전반에 대한 서비스로 개인별 욕구에 따라 상시 또는 간헐적으로 제공된다. 주거상담, 일상생활 관리, 의료지원, 심리정서지원 등이 포함된다.
서울시가 2009년부터 선도적으로 추진, 현재 76호에 128명 거주 중인 ‘
자립생활주택’도 올해 5호를 추가 공급하고, 2022년까지 총 91호로 확대한다.
신규로 확보되는
자립생활주택 5개소는 상·하반기 각 1회 사회복지법인과 비영리민간단체를 대상으로 공개모집을 통해 운영사업자를 선정하여 사업이 추진된다.
자립생활주택은 완전한 자립에 두려움이 있는 탈시설
장애인이 2년 간(최장 4년) 거주하며 자립생활을 체험하고, 사회적응과 경험을 쌓을 수 있는
주택이다.
지원인력의 도움도 받을 수 있다. 지역사회 정착 전 중간 단계의 주거 형태이자, 시설과 지역사회 사이의 징검다리 역할을 하며 자립에 대한 두려움 해소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강병호
서울시 복지정책실장은 “
장애인 인권 증진의 핵심 목표인 탈시설 정책을 안정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에서의 자립에 대한 당사자의 두려움을 덜어주는 것이 중요하다”며 “‘자립’이라는 탈시설
장애인들의 꿈이 현실이 될 수 있도록
공급형‧비
공급형 지원
주택과
자립생활주택을 지속 확대·지원해나가겠다”라고 말했다.
-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권중훈 기자
(gwon@abl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