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상은 평생 짊어지고 가야할 짐이다. 따가운 사회적 시선 역시 마찬가지다.”서울 중랑구에 거주하는
신덕성(50세·지체장애 2급·기초생활수급자)씨는 28살인 1992년 12월 겨울 얼굴 전면과 팔 양쪽에 화상을 입었다.
신씨의 얼굴 피부는 심한 화상으로 목까지 흘러내리는가 하면, 양쪽 손의 손가락은 변형되고 붙어버려, 원상태로 복원시키는 재건 수술을 받아야만 했다.
1997년 우여곡절 끝에 퇴원은 했지만 화상에 따른 트라우마(정신적 외상)는 신씨를 괴롭혔다. 여기에 사회적 시선은 그를 더욱 힘들게 했다.
신씨는 “사고 후 깊이 잠들어 본적이 없다. 편하게 잠을 잘 수가 없다”며 심리적으로 불안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퇴원하니 주위 사람들이 ‘어떻게 살래’ 하면서 피해 다녔다. 사회적 편견이 시작됐다. 존재가치가 없어졌다”고 토로했다.
여기에 마지막 보루였던 교회에서 조차 신씨는 이방인처럼 따돌림을 받아야만 했다.
결국 신씨는 극단적인 선택을 할 수밖에 없었다. 죽기 위해 수면제를 과다복용하고 산에 올라 목을 매달기도 했다.
또 달리는 자동차에 뛰어드는가 하면, 동작대교와 건물에서 뛰어내리기도 했다. 신씨는 1997년부터 2008년까지 이렇게 총 12번의 자살을 시도했다.
신 씨는 힘든 과정을 극복하고 우여곡절 끝에 퇴원했지만, 따가운 사회의 시선은 현재까지 변한 것이 없었다.
꼭 필요한 심리치료도 언감생심인 상태다. 사고 이후 치료비 등의 지출로 빛까지 진 상태에서 심리치료를 받기에는 비용 부담이 크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