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지역 재난대피소에 장애인 편의시설 및 접근이 불편하다.ⓒ장애인권익옹호활동단 삼별초

최근 포항지진으로 재난 안전이 사회적 이슈로 떠오른 가운데, 재난 시 장애인은 재난대피소 접근조차 어려운 것으로 드러났다. 모든 장애유형이 대피할 수 있는 대피소가 단 한 군데도 없는 것.

장애인권익옹호활동단 삼별초와 경남아자장애인자립생활센터가 연대해 창원시 재난대피소 315곳을 대상으로 장애인 접근성 및 편의시설 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를 29일 공개했다.

이들은 장애인 마크 표시 여부, 휠체어 진입 가능 여부, 점자블록과 시각경보기 설치 여부 등 6개의 조사항목으로 장애인 접근성이 얼마나 갖춰있는지 살펴봤다.

그 결과, 모든 장애유형이 대피할 수 있는 대피소는 단 한 군데도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조사항목별 결과를 보면 대피소 표지판에 장애인 마크가 없거나 너무 낡아서 약시인들은 식별이 힘든 경우가 67%나 되었고, 심지어 계단 앞에 장애인 마크가 있는 표지판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도 다반사였다.

대피소에 휠체어 진입 가능 여부 결과를 보면 유사 시 타인의 도움 없이 휠체어가 대피할 수 있는 곳은 315곳 중 불과 129곳뿐, 60%는 휠체어 사용인의 접근이 곤란했다.

대부분의 대피소가 아파트 지하주차장에 지정이 되어있는데 진입로의 경사가 매우 가파르거나 나선형이어서 휠체어가 컨트롤이 안 되어 2차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게다가 일반주택에 사는 장애인일 경우 지하주차장이 없기 때문에 주민센터 등 공공기관의 대피소를 이용할 수밖에 없지만, 공공기관은 야간이나 주말 등 근무 외의 시간에는 대피소 문을 폐쇄해 이용하지 못한다.

외에 소리로 재난경고를 들을 수 없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시각경보기, 눈으로 이동경로를 찾을 수 없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블록, 응급 시 심장장애인을 위한 심장제세동기 등은 대피소의 95% 이상이 설치가 되어있지 않았다.

이들은 “재난대피소마저 장애인의 안전과 생존권을 차별하고 있다. 창원시는 물론이고 전국적인 재난대피소를 대상으로 장애인 접근성을 전수조사 하여 모든 장애유형을 포괄하는 제도 및 법령 개선, 대피소 정비를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들은 이 같은 조사결과를 갖고 오는 12월1일 오후2시 경남장애인종합복지관 대회의실에서 ‘창원시 재난대피소 장애인 접근성 및 편의시설 모니터링 결과보고 및 정책토론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