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이후 서울시 등록장애인이 줄어들지만 고령화되고 있다.ⓒ서울시복지재단

서울시에 거주하는 중증장애인 절반이 지난 1주일동안 함께 사는 가족 이외에는 만난 사람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18.8%는 전혀 집 밖에 나가지 않아 사회적 고립에 처해있다.

서울시복지재단은 지난달 발간한 ‘복지이슈’ 속 ‘이슈와 통계’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서울시 중증장애인 자립생활실태 조사 결과를 분석했다.

이번 조사는 ‘서울시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지원조례’에 따라 2011년과 2014년에 이어 3차로, 서울시에 등록된 만 18세 이상의 1~3급 재가장애인 1540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먼저 2016년 12월 말 기준 서울시에 등록된 장애인구는 39만1027명으로 1-3급 중증장애인 15만1150명(38.7%), 4-6급 경증장애인 23만9877명(61.3%)의 인구분포를 보이고 있다.

2005년 이후 서울시 장애인구 동향을 살펴보면, 2010년까지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다가 2011년을 기점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주목할 만한 특징 중 하나는 고령(60~79세)과 초고령(80세 이상) 장애인구의 급격한 증가다.

2005년 서울시 전체 장애인구 중 고령 장애인과 초고령 장애인이 차지하는 비율은 각각 32.8%, 3.1%로 나타났으나, 2016년에는44.8%, 10.4%로 증가한 것.

고령화로 인해 ‘의료 및 건강관리’ 욕구가 증가했지만, 전체 응답자 가운데 28.5%가 평소 하루 한 끼 이상 식사를 거르고 있었다.

이유로는 13.7%가 ‘혼자 밥 먹는 것이 어려워서’라고 답했다. 특히, 뇌병변장애인과 시각장애인의 경우 식사를 거리는 비율이 각각 26.6%, 24.5%로 높았다.

또한, 전체 응답자의 절반 이상(58.4%)이 건강관리를 위해 규칙적인 운동을 하지 않았다. 이유 역시 ‘운동을 도와줄 사람이 없어서’가 22.2%로 높았고, 이어 ‘운동시설 접근 및 이용이 어려워서’가 21.7% 였다.

도움이 필요하지만 중증장애인들은 도움을 받지 못하고 있다. 75%가 비정기적인 도움에 의지하며 생활하고 있다.ⓒ서울시복지재단

일상생활에서 도움이 필요한지 여부에 대해서는 68.8%가 필요하다고 했으며, 이중 22.2%는 일상생활을 도와주는 사람이 없었다. 특히, 독거 중증장애인의 경우에는 절반에 가까운 45.9%가 일상생활을 도와주는 사람이 없었다.

보고서는 “서울시는 인정점수 400점 내외 와상 및 사지마비 독거 장애인 등에게 시비 추가급여를 제공하고 있지만 독거 중증장애인에 대한 지원이 보다 확대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더불어, 독거 중중장애인의 경우 활동보조인이 일상생활을 도와주는 사람 1순위로 응답된 사례가 2인가구 이상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독거 중증장애인의 경우 2인 가구 이상 중증장애인에 비해 건강관리에 취약하고, 소득수준이 낮으며, 주거 열악성이 높게 나타나는 등의 특징을 보였다.

이는 독거 중증장애인 중 25%만이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나머지 75%는 비동거 가족, 친지 등에 의존하거나 외부의 별다른 도움 없이 홀로 일상생활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사람을 만나기도, 외출도 어렵다. 47.7%가 동거 가족 이외에 사람을 못 만난다.ⓒ서울시복지재단

이번 실태조사에서 주목할 만한 조사결과 중 하나는 사회적 고립에 처해 있는 중증장애인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타인의 도움 없이 혼자서 외출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질문한 결과, 28.3%는 혼자서 외출이 불가능하다고 응답했다.

또 ‘외출을 도와줄 사람이 없어서’, ‘밖에 나가고 싶지 않아서’등 의 이유로 지난 1주일간 전혀 외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 응답자의 절반에 가까운 47.7%는 동거가족 외에 만난 사람이 없었다. 1~2명의 경우도 25.4% 에 달했다.

특히, 뇌병변장애인(62.9%), 발달장애인(60.7%), 정신장애인(57.2%)의 경우 다른 장애유형에 비해 사회적 관계 단절의 수준이 높았다.

아울러 이번 3차에서는 기존 조사에서 제외됐던 65세 이상 중증장애인이 조사대상에 대한 설문을 반영했으며, 10명 중 7명이 노후생활에 대해 걱정하고 있었다.

주요 걱정 사항은 ‘생활자금 마련’이 71.1%로 가장 높았으며, 뒤이어 의료비 부담(57.7%), 신체적 기능 저하(55.4%), ‘노인성 질환’(45.4%) 등의 순으로 나타나 경제적 부담과 건강상태 저하 관련 비율이 높았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