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장애인취업박람회장에서 줄을 길게선 면접장.ⓒ에이블뉴스DB

지난해 말 기준 장애인 고용률은 3.1%로 여전히 상승 속도가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지방자치단체 공무원 부문은 전년에 비해 오히려 떨어졌으며, 민간기업의 경우 코로나19 장기화 여파로 장애인 고용의 회복이 다소 느린 것.

고용노동부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1년 말 기준 국가·지방자치단체, 상시근로자 50명 이상의 공공기관 및 민간기업 장애인 의무고용 사업체(총 3만478곳)의 장애인 고용현황을 28일 발표했다.

장애인 의무고용 사업체의 장애인고용률은 3.1%로 전년 대비 0.02%p 증가했으며, 전 부문에서 중증·여성 장애인 비중이 늘어났다. 특히 중증장애인 비중은 장애인 경제활동 인구 중 중증장애인 비중(30.8%)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말 장애인 고용현황.ⓒ고용노동부

장애인 의무고용 현황을 부문별로 살펴보면, 국가·지방자치단체 공무원 부문(의무고용률 3.4%)의 장애인 고용률은 2.97%로 전년과 비교해 0.03%p 내려갔다.

지방자치단체의 공무원 고용률이 3.92%로 가장 높고, 중앙행정기관이 3.68%로 뒤를 이었다. 한편, 작년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던 교육청의 공무원 고용률은 1.94%로 전년 대비 0.03%p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지방자치단체 근로자 부문(의무고용률 3.4%)의 장애인 고용률은 5.83%로 전년 대비 0.29%p 상승했다. 이중 중증장애인 비중이 45.5%, 여성장애인 비중이 40.9%로 네 부문 중 가장 높았다.

공공기관(의무고용률 3.4%)의 장애인 고용률은 3.78%로 전년보다 0.26%p 상승했으며, 민간기업(의무고용률 3.1%)의 장애인 고용률은 2.89%로 전년 대비 0.02%p 하락했다.

특히 공공기관 중 기타공공기관은 전년 대비 장애인 근로자가 1844명 늘어난 결과 장애인 고용률 3.47%를 달성해 3%에도 못 미쳤던 작년 고용률(2.62%) 대비 큰 폭의 개선을 이뤄냈다고 고용부는 설명했다.

코로나19 장기화 여파가 이어졌던 민간기업의 경우, 규모별·업종별로 회복 속도가 다른 경향으로 인해 작년보다 상시 근로자 수는 15만489명 늘었으나 장애인 근로자는 3137명 느는 데 그쳐 비장애인 고용 대비 장애인 고용의 회복이 다소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황보국 통합고용정책국장은 “중증·여성 장애인 비중이 증가한 것은 고무적”이라면서 “2022년도부터 공공부문 의무고용률이 상향되는 만큼 공공부문의 선도적인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고, 코로나19 이후 일상 회복 기조에 따라 민간기업의 장애인 고용이 함께 회복될 수 있도록 폭넓게 지원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