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시설 로드맵이 발표되면서
장애인 탈시설을 반대하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게 나왔다. ‘시설퇴소는 사형선고’라면서 정부의 탈시설 정책을 즉각 철회할 것을 요구하고 나선 것.
전국장애인거주시설부모회는 성명서를 발표하고 보건복지부 청사 앞에서 집회와 기자회견을 개최하는 등
장애인 탈시설 정책이 추진되는 것을 막기 위해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중증발달장애인들의 경우 부모가 자녀를 감당하지 못해서 죽음을 오가는 고통을 받고 있다고 토로하며 장애인과 부모의 의견을 반영하지 않은 정책을 즉시 철회하고 중증발달장애인이 시설에서 거주할 권리를 보장해달라고 촉구했다.
특히 10월 7일 국회에서 열린 보건복지부 국정감사에 참고인으로 출석한 발달장애인 부모 신정화 씨는 정부가 추진 중인 일방적인
장애인 탈시설에 반대하며, “시설에서 계속 살 수 있도록 해달라”고 호소했다.
“중증발달장애인을 가졌다는 이유로 따가운 시선을 느끼고 죄인이 되어 살아가고 있습니다. 발달장애인을 케어하다 보면 가족들은 경제활동을 모두 포기해야 합니다. 모두가 살아가야 하기 때문에 죄책감을 갖고 시설에 자녀를 맡기고 있습니다.”
“가위가 뭔지 라이터가 뭔지, 자기 옷도 다 자르고 사는 아이들이 자립 생활을 하면 살 수 있을까요? 존엄한 삶을 살 수 있도록 탈시설을 하든, 시설에 남든 선택권을 주세요.”10월 6일 한국천주교주교회 사회복지위원회도 “중증발달장애인 중 도전적 행동 정도가 심해 부모가 통제할 수 없거나 부모의 건강 악화, 사망 등으로 장애인 자녀를 돌볼 수 없는 경우 등 장애인 거주 시설을 이용할 수밖에 없는 장애인 가족들에게는 결코 포기할 수 없는 권리”라며
탈시설 로드맵을 반대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아울러 “선진국들에서는 그룹홈, 공동 시설 등 장애인 당사자와 그 가족들이 장애 유형과 특성에 따라 적합한 생활 형태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지만, 정부의 정책은 이러한 다양한 선택의 가능성을 없애고 오로지 온전한 자립만을 강조하는 비현실적 정책”이라고 비판했다.
이처럼
장애인 탈시설 로드맵, 즉 탈시설에 대한 입장차는 거리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장애인의 완전한
자립 생활 보장을 위해서는 올해 첫발을 내딛었지만, 아직 해결해야할 과제가 산적해 갈 길이 멀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