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장애인개발원은 지난 17일 서울 영등포 여의도 이룸센터 누리홀에서 '장애인 재난 위기관리 시스템의 현황과 과제‘를 주제로 2014년 하반기 장애인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한국장애인개발원

재난에 취약한 장애인의 위기대응 매뉴얼이 부족, 정책적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하나로 모아졌다.

한국장애인개발원은 지난 17일 서울 영등포 여의도 이룸센터 누리홀에서 '장애인 재난 위기관리 시스템의 현황과 과제‘를 주제로 2014년 하반기 장애인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박경서 서울시소방재난본부 주임은 2009년부터 2014년 9월까지 집계된 서울시 장애인 화재사고 발생 통계를 직접 조사해 소개했다.

통계에 따르면, 장애인 사상자는 57.4%, 비장애인 사상자는 12.1%로 나타나고 있는데 오후3시~5시, 고연령 장애인, 주거시설에서 주로 발생하고 있었다.

박 주임은 “현재 중증장애인 응급알림 e-서비스, 중증 독거장애인 및 거주시설 긴급구조체계 등을 갖춰나가고 있으나 전국적인 장애인 재난사고 통계 집계가 필요하며 구조・구급대원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 역시 동반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안영훈 연구위원도 “미국은 장애인법에서 장애인을 위한 긴급재난관리 계획수립, 서비스 제공, 재난대응활동 등의 과정에서 장애인을 위해 지켜야 할 기본사항을 규정하고 있다”며 “우리나라의 경우, 미국의 사례와 같이 정부, 민간, 지역사회, 개인 수준에 맞는 장애인 재난 대응 시스템을 갖출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장애인개발원 김인순 편의증진부장은 “우리나라는 장애인을 위한 재난대응 매뉴얼이 잘 갖춰져 있지 못하다”며 “최근 미국, 독일, 일본 등의 해외 장애인 재난대응 매뉴얼을 참고하고 국내 장애인거주시설 현황을 조사해 국내 매뉴얼을 개발했다. 앞으로 장애 유형에 맞는 재난대응 매뉴얼 개발에 힘써야 한다”고 힘을 보탰다.

한국지체장애인협회 김영근 기획정책국장은 “휠체어를 사용하는 지체장애인은 화재 등 재난에 매우 취약하다”며 “공공기관에서 더 나아가 생활영역의 크고 작은 건물에도 편의시설이 잘 갖춰질 수 있도록 정책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국지적장애인복지협회 고명균 사무처장은 “재난 대응 시스템에 있어 도시는 나은 편이지만 농어촌은 매우 열약하다”며 “지적장애인의 경우 단기적인 훈련만으로는 재난대응 시스템을 익히는 데 어려움이 따르며 생활환경에 익숙한 보호자 등과 함께 주기적인 훈련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강완식 팀장은 “시각장애인이 이해할 수 있는 안전 매뉴얼 개발이 필요하며 반복적인 체험 훈련이 동반되어야 한다”며 “실제 재난이 발생했을 때 보상 및 배상이 적절하게 이루어지도록 규정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