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장애인권리조약 한국추진연대 소속 한국DPI 이익섭(앉은 사람) 회장을 비롯한 회원들이 워크숍 중간중간 전략회의를 짜고 있다. <에이블뉴스>

국제장애인권리조약과 관련해 아태지역이 조약문 작성 자체에 치우쳐서는 안 되며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가는 과정이 더 중요하는 의견이 제시됐다.

한국DPI는 15일 태국 방콕 유엔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리고 있는 방콕드래프트 작성을 위한 유엔에스캅 워크숍에 참가한 각국 정부대표 및 엔지오 대표들에게 이러한 취지를 담은 성명서를 돌렸다.

특히 한국DPI는 성명서에서 조약 제정과정에 대해 “그동안 조약의 제정을 위해 노력해온 장애인단체들은 단순히 그 결과만을 위해 발로 뛴 것이 아니다”며 “국제사회의 여론형성과 논의과정에서 장애인 문제가 개인이 극복해야 할 문제가 아님을 밝히고 사회가 인권의 문제로 인식하여 적극적으로 보장하여야 함을 알리는데 역시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고 밝혔다.

이어 한국DPI는 “이것이 바로 조약의 제정 이후 그 이행과정에 지속적이고도 커다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며 조약의 제정에 앞서 그 필요성을 사회적으로 합의해나가는 과정 자체가 대단히 중요하기 때문”이라며 “그러므로 각국의 장애인 단체 동지들은, 전 세계 6억 인구의 장애인들이 누리게 될 권리만이 아니라, 그것을 둘러싼 전 세계인의 동의와 합의를 위한 공동의 노력이 필요함을 인식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DPI는 또 엔지오의 역할과 관련해 “국제장애인권리조약은 장애인당사자들의 실질적인 참여에 의해서만 그 의미를 가질 수 있음이 제2차 유엔 특별위원회에서 당사자배제불가(nothing about us without us)를 외치며 명실상부한 참여를 주장했던 엔지오(NGO)들이 결국, 정부대표로 추천한 사람과 동등한 자격으로, 실무단체(Working Group)에 당사자단체들의 참여를 보장하는 결의문을 이끌어 낸 것을 통해 입증됐다"며 ”이는 국제장애인권리조약을 제정하는 과정에 장애인과 당사자단체들이 보다 직접적이고 적극적인 자세로 임해야 함을 확인시키는 성과였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한국DPI는 ”우리의 권리는 다른 누구도 대신 보장해 주지 않는다”며 “삶에 대한 선택과 결정은 바로 우리 자신들의 몫인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한국DPI는 워크숍의 방향과 관련해 “보편적인 권리를 뒷받침하기 위해 실질적인 방안이 필요한 것일 뿐이며 장애인들은 더 이상 특별한 권리와 배려를 필요로 하는, 사회적 일탈 그룹이 아니다”며 “권리조약은 바로 그런 보편적인 영향을 장애인에게 미칠 수 있는 내용으로 제정되어야 하며, 각국의 정부와 민간은 이를 위한 노력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제시했다.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