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국민이 메르스 불안과 공포에 떨고 있다. 밤사이에 23명의 새로운 메르스 확진 환자가 발생해서 확진 환자가 87명으로 늘어났고, 사망자도 6명으로 늘어나 사우디아라비아에 이어 메르스 2위 발병 국가라는 오명을 안게 되었다.

발병 지역도 서울과 경기도에 이어 전북도와 부산으로까지 번져서 전국으로 퍼지는 것도 시간문제인 것 같다. 보건복지부 장관은 메르스 사태는 8일이 가장 피크라고 생각하고, 내일이나 모레부터는 안정적인 모습을 보일 것이라고 하는데, 과연 그렇게만 된다면 다행이지만 결과는 아무도 장담할 수 없기 때문에 국민들의 불안과 공포는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

서울시 교육청에서도 긴급회의를 갖고 강남구와 서초구의 유치원과 초등학교에 대해 8일부터 10일까지 일괄적으로 휴교를 결정했다는데, 면역력이 약하고 메르스에 감염되어도 스스로 의사 표현을 할 수 없는 발달장애인들에 대한 언급은 어디에서도 찾아 볼 수 없다.

특히 장애인주간보호시설에는 성인들과 학령기 장애인들이 함께 이용하고 있고, 성인들은 센터와 집만 오가지만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인들은 많은 인원과 접촉을 하고, 학생들도 원거리 통학을 하기 때문에 거주 지역이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어서 메르스 감염에 가장 취약한 집단으로 분류 되어야 한다.

만약 발달장애인이 메르스에 감염된다면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확진 환자로 확인 될 때는 이미 학교와 이용시설에서 수많은 사람들과 접촉한 상태여서 추가 감염자가 기하급수로 늘어날 수 있는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따라서 당국에서는 특수학교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휴교 조치를 포함한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메르스 확산 방지를 위한 조치를 취할 것은 물론, 특수학교 재학생들이 이용하는 장애인주간보호시설과 복지관 등의 동반 휴업도 검토해서 면역력이 약한 발달장애인들을 메르스로부터 보호해야 한다.

서울시에서는 장애인시설의 메르스와 관련된 동향보고 요청 공문을 발송하고, 예방에 필요한 비품을 신청하게 하는 등 메르스 예방에 일련의 조치를 취하고 있지만, 서울시교육청과 서울시청이 별도의 대책을 수립하는 것 보다는 특수학교와 장애인시설의 연계성에 착안하여 합동으로 예방대책을 수립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

확진 환자와 격리조치자에게만 행정력을 집중하지 말고, 장애인과 취약계층의 예방에도 행정력을 투입해서 취약 계층의 감염을 원천적으로 봉쇄하기 바란다.

주간보호시설에서도 등원하는 장애인들의 손을 소독하고 체온을 측정하는 등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마스크를 씌우면 벗어 던져버리는 등 예방조치에 한계가 있고, 외부에서 한 명이라도 감염되면 다른 이용자와 직원들은 물론 가족까지도 감염의 위험에 노출된다.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특수학교와 장애인이용시설 발달장애인에 대한 특단의 조치를 주문한다.

메르스 확산 여파로 인해 각종 장애인 행사가 잠정 연기되거나 취소되고 있지만, 장애인 밀집 기관인 특수학교와 장애인이용시설에 대한 대책은 전무하다.

특수학교 재학생 부모와 시설이용 장애인 부모들의 자녀에 대한 메르스 감염 불안과 공포를 하루 빨리 불식 시켜주기 바란다.

*이글은 권유상 전 한국장애인부모회 사무처장이 보내왔습니다. 에이블뉴스 회원 가입을 하고, 편집국(02-792-7785)으로 전화연락을 주시면 직접 글을 등록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4급 지체장애인이다. 하나 밖에 없는 아들은 1급 자폐성장애인이다. 혼자 이 험한 세상에 남겨질 아들 때문에 부모 운동을 하게 된 지도 17년여가 흘렀지만, 그 때나 지금이나 수급대상자 이외에는 달라진 게 없다. 정치인이나 공무원들이 책상머리에 앉아서 장애인복지를 하니까 이런 거다. 발이 있으면 현장에서 뛰면서 복지 좀 하길 바란다. 아직까지 중증장애인들의 모든 것은 부모들 몫이다. 중증장애인들은 아무도 관심을 가져주지 않는다. 장애인 단체들도 자신들 영역의 몫만 챙기는데 혈안이 되어 있다. 얻어먹을 능력조차 없는 중증장애인들에게 관심 좀 가져 주고, 부모들의 고통도 좀 덜어 달라. 그리고 당사자와 부모, 가족들의 의견 좀 반영해 달라. 장애인복지는 탁상공론으로 해결할 수 없다. ‘장애인 부모님들, 공부 좀 하세요.’ 부모들이 복지를 알아야 자녀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환갑을 지나서 대학원 석사과정을 졸업했다. 혼자서 우리 자식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힘이 모아져야 장애인복지가 달라질 수 있다.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