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우리 사회는 수많은 ‘신화’를 만들어 왔습니다. ‘경제성장’이라는 신화, ‘과학 기술 발달’이라는 신화.... 신화란 절대적이고 획기적인 업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표현으로 쓰입니다. 대중 매체룰 통해 의도적으로 만든 이야기라는 인상이 강한 것이 사실이지요.
저는 조금 다르게 해석하고 싶습니다. ‘신화’는 한 사람 한 사람의 바람을 모은 것! 사람들이 무언가 하나에 가치를 두고 그것을 공유하면 사회 속에서 ‘공동의 환상’이 만들어지는데 그 시대의 공동의 환상을 ‘신화’라고 정의하겠습니다.
국내 최초!
발달장애화가와 기업이 이루어낸 사회적 가치가 빛나는 ‘신화’ 이야기를 해 보겠습니다.
지금까지 우리 사회가 발달장애라는 단어에는 불가능의 의미도 포함시켜 암묵적으로 동의해 왔다고 하면 과한 표현일까요? 불가능이라는 짙은 선입견으로 발달장애인들의 사회 활동의 기회가 배제되고 있는 현실입니다. 아직도 이 사회는 모르고 있나 봅니다. 발달장애인의 능력은 결손, 결여가 아닌 우리와 ‘다른 조건’에서 ‘다른 감각전달체계’로 ‘다른 가능성’을 발견하는 사람들이라는 사실을......
그중 발달장애인의 두드러지는 고유한 특질인 시각적 정보저장의 탁월함이 발현되어 그림으로 세상과 소통하려는
발달장애화가들이 점점 늘고 있습니다. 원래부터 존재하고 있는 인간의 고유한 본성으로 학습되지 않은 자유로운 색채와 누군가에게 잘 보이려는 욕심 없는 선들로 그려낸
발달장애화가들의 그림은 현대미술 시장에서 세계적으로 새로운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주목받기 시작했습니다.
지금 우리나라
발달장애화가들의 예술 활동은 단발성 전시나 아트상품을 제작하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이 조차도
발달장애화가들에게는 쉽지 않은 기회임은 분명합니다.
저는 제 아들이 발달장애 청년화가로 활동 중이고, 같이 마음을 모은 5인의 발달장애 청년화가들과 <아르브뤼 코리아>라는 사회적 협동조합을 꾸려가고 있습니다. 이 청년작가들의 그림이 경제활동으로 이어질 수 있는 기회를 확장하고자 이런저런 방법을 모색 중입니다.
대표로서 다섯 작가의 포트폴리오를 들고 동행서주하는 옛날 사람 방식의 영업전략(?)이 그리 녹록하지 않다는 속내를 털어놓겠습니다. 그래도 감사한 일은 우리 오!(5)작가들의 개성 있는 그림 풍을 인정해 주는 주변 선생님들과 선배들과 가능성의 기회를 열어주시는 공공기관 관계자 분들의 격려로 조금씩 한 걸음씩 나아가고 있습니다.
아! 서두에 표현한 국내 최초 ‘신화’이야기가 늦었네요.
제가 일전에 에이블뉴스 칼럼에 서초구청의 앞서가는 예술 행정의 예로
발달장애화가 작품을 렌탈 전시사업으로서 지자체 최초의 성과를 소개한 글이 있습니다.
그 칼럼을 읽은
로보케어 기업의 송상수 이사라고 밝힌 관계자로부터 메일을 받았습니다.
발달장애화가들의 작품을 사내에 렌탈 전시하고 싶다는 내용을 보고 놀란 토끼 벼랑 바위 쳐다보듯 모니터만 째리며 몸이 움직여지지 않았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