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증인' 공식 포스터 ⓒ다음 영화

언제나 자폐성장애 동향을 체크하기 위해 관련 뉴스를 검색하다가 유난히 연예인 사진이 많이 검색되었습니다. 알고 보니 자폐성장애인을 다룬 영화가 개봉한다는 사실이 당연하겠지만 홍보되는 과정에서 그랬던 것이었지요.

자세히 조사해보니 제목은 ‘증인’이었고, 당사자로 설정된 배우는 주연 여배우였습니다. 배역을 맡은 배우는 김향기씨였더군요. 영화에 대한 서술은 직접 보시면서 이야기를 하겠고, 제가 평가하려는 것은 다른 것입니다.

“자폐성장애 당사자가 봤을 때, 자폐성장애를 얼마나 정확하고 틀에 박히지 않게 묘사했나?” 이 관점을 중심으로 영화를 지켜봤습니다.

당사자(이하 극중 배역인 ‘지우’로 통칭)는 여성 청소년기 자폐성장애인입니다. 갑작스런 사건의 유일한 목격자로 설정되어있었죠. 결국 극 중 사건의 진실은 지우만이 알고 있었던 것입니다.

변호사(순호, 정우성 분)는 지우를 찾아가서 증거를 찾으려고 했는데, 이 접근 과정에서 올바른 접근 방식에 대한 교차된 서술을 느꼈습니다. 지우는 처음 만난 변호사에게 마음을 열지 못했고, 결국 매개체를 통한 소통을 통해 접근하는 전략을 채택했습니다.

사실 이것은 바르게 서술된 것인데, 자폐성장애인은 갑자기 나타난 사람을 신뢰하기 어렵습니다. 저도 요즘은 많이 두려워하지 않게 되었지만, 지금은 돌아가신 고등학교 시절 사진 과외선생님을 첫 대면에서 두려워한 적이 있었습니다.

영화에서는 핵심 이야기 줄기가 아예 ‘자폐성장애인인 지우와 변호사가 어떻게 소통하고 관계를 맺는가?’이었을 정도니까요. 물론 관계의 위기를 맞이하지만, 결과적으로 양자 간에 노력을 한 사실은 보입니다.

결국 ‘변호사가 꿈이었던 지우’와 ‘현직 변호사 순호’가 변호사라는 직업에 대한 관점이 교차된 순간, 마음이 통했다고 봅니다. 결국 자폐성장애인에게 서로 마음에 맞는 주제를 찾았고, 결국 인간적인 관계를 맺게 되었던 것이죠. 실제로 이렇게 자폐성장애인과 비장애인은 관계를 이을 매개체를 통해 소통하는 것이 좋다고 개인적으로도 인정합니다.

이야기 진행 도중, 지우는 2심 재판을 앞두고 제겐 울림 있는 독백을 합니다. 독백의 메시지는 “나는 증인이 되겠다”이었습니다. 진실을 말하겠다는 일념이었습니다.

그렇지만, 이 결심을 하게 된 과정에서 오히려 어머니가 견제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부모가 오히려 당사자의 결심을 방해할 정도라고 느꼈을 정도였습니다.

부모는 당사자의 결정을 지원할 의무가 있습니다. 다른 핑계를 대더라도, 당사자의 결정이 먼저입니다. 그것이 실정법에 위반되는 문제가 아닌 이상, 당사자의 결정을 따르는 것이 원칙이었기 때문입니다.

다행히 영화에서는 결심이 실천으로 이어진 과정이 자세히 묘사되지는 않았지만, 결국 2심 재판정에 나섭니다.

영화에서 감각 과민 현상도 나오는데, 사실입니다. 각자에게 똑같이 다르게 적용되는 현상으로 시각, 청각, 공간, 감각 등에 대한 과민 현상을 잘 묘사하기 위해 외국 동영상을 복선으로 하여 자폐성장애인이 겪는 온갖 민감하게 느껴질 감각을 영상으로 잘 표현했습니다.

더 중요한 것은 2심 재판에 가서 지우는 법원 특유의 이질적인 감각을 뚫고 재판정에 나선 것이죠. 물론 힘든 결심을 한 만큼 힘든 고통이었을 것입니다. 저는 다행히 경찰서에 간 적은 있어도(교통사고 피해 진술 관련이었습니다.), 법원에 가서 낯선 환경에 노출된 적은 없었습니다.

그 외에도 비주얼 씽킹(Visual Thinking, 시각적 사고)에 대한 언급이나 감정을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 “자폐성장애인은 거짓말하기 어렵다” 같은 것은 실제 자폐성장애와 관련된 사실과 합치되는 부분으로, 당사자 역할을 한 김향기 배우가 누구에게서 자폐성장애 특성을 ‘카피’했는지 궁금해질 정도입니다.

다만 아쉬운 것은 그래도 많은 요소를 빼고 서술했지만, ‘자폐성장애인=셔번트’ 공식의 틀이 남아있었던 것은 아쉬웠던 부분입니다. 그래도 중심 이야기 줄기가 아닌 부수적인 언급으로 내려서 그나마 점수를 줄 수 있었던 것입니다. 결정적인 증거로 언급되는 부분에서 이러한 ‘생각의 틀’의 남아있는 부분이 있었습니다.

그래도 ‘셔번트’를 전면에 언급하지 않고 자폐성장애인의 ‘셔번트적 재능’에 대한 부분을 상당히 많이 지우고 서술했다는 점은 한국 영화 특유의 자폐성장애에 대한 무지를 이제는 극복할 수 있다는 희망을 보기도 합니다.

또, 이야기에서 학교폭력 등 통합교육의 ‘부작용 현상’에 대해 자주 언급한 묘사가 있었던 것도 아쉬웠습니다. 물론 통합교육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저도 차별과 인권침해, 폭력을 경험했지만, 영화 결말 부분에서 특수학교로 전학하여 ‘이제는 비장애인인 척할 필요가 없다’는 지우의 대사를 통해 통합교육이 자폐성장애인에게 부적합하다는 인식을 심어줄 소지가 있는 부분은 아쉬웠습니다.

그렇지만, 장애학생에게 통합교육을 실시해야 하는 것은 국제 권고사항이자 세계적 추세라는 사실을 반영하지 않았습니다. 물론 이 통합교육을 위한 교육당국의 노력 부족만은 지적하고 싶네요.(물론 영화에선 반영 안 되었지만)

마지막으로 지적하고 싶은 아쉬운 점은 발달장애인법 조문에 있습니다. 제12조 3항의 조문에 의하면, 발달장애인을 재판 증인으로 채택했다면 재판에 중대한 문제가 있지 않는다면야 당사자, 검사, 보호자 등의 요구가 있을 경우 신뢰관계에 있는 사람을 배석할 의무가 있는데, 이 부분을 영화에서 반영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지우는 혼자서 증언했으니까요.

그래도 자폐성장애에 대해 ‘틀에 박힌 문법’을 극복하려는 시도는 보기 좋았습니다. 제가 만나본 자폐성장애 관련 영화에서 대놓고 ‘셔번트’를 표방하지 않았다는 것 자체가 일단의 큰 진전입니다.

자폐성장애에 대해 신경 쓰고 묘사한 부분도 적잖아 있지만, 그래도 100% 셔번트를 소거하지 못한 것과 통합교육에 부정적인 소지로 비춰질 수 있는 묘사, 발달장애인법 제12조 3항을 반영 못 한 것 때문에 아쉽기는 합니다.

전체 점수는 100점 만점에 85점으로 평가합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2015년 계약 만료로 한국장애인개발원을 떠난 것은 시작일 뿐이었다. 그 이후 장지용 앞에 파란만장한 삶과 세상이 벌어졌다. 그 사이 대통령도 바뀔 정도였다. 직장 방랑은 기본이고, 업종마저 뛰어넘고, 그가 겪는 삶도 엄청나게 복잡하고 '파란만장'했다. 그 이전에도, 그 이후에도 파란만장했던 삶을 살았던 장지용의 지금의 삶과 세상도 과연 파란만장할까? 영화 'Everything Everywhere All At Once'는 픽션이지만, 장지용의 삶은 논픽션 리얼 에피소드라는 것이 차이일 뿐! 이제 그 장지용 앞에 벌어진 파란만장한 이야기를 읽어보자!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