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이 온 지구를 뒤 덮고 있다. 사실 3차 산업혁명도 나의 삶과 그 다지 익숙하지 않은데 4차 산업혁명을 운운하니 주변의 문화에 끼어들기라도 할 생각으로 이리저리 4차 산업혁명을 운운하는 자료를 찾아 주변을 기웃거려 본다.

4차 산업혁명은 ABC로 요약된다. Atificial Intelligence(인공지능), Big data(대량의 정형 또는 비정형 데이터), Cloud Service(사용자 환경 밖의 거대 서비스 집합)을 통한 지능화가 그것이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이라는 말은 근거가 없다. AI와 자동화는 사실 20여 년 전부터 시작됐고, 이를 통한 생산성이 극적으로 향상됐다는 증거도 없다. 따라서 4차 산업혁명이라는 말보다는 진화라는 표현이 더 잘 어울린다고 할 수 있다.

3차 산업혁명까지는 생산자 중심의 변화기라면 4차 산업혁명은 소비자 중심의 맞춤 생산과 효과성을 추구한다.

따라서 4차 산업혁명과 장애인 교육은 매우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장애인의 장애 정도와 역량은 백인백색(百人百色)이다. 그래서 자연스럽게 나온 특수교육 용어가 개별화교육 또는 개별화교육 프로그램(IEP)이다.

인공지능과 빅 데이터를 통해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명실상부한 장애인 개별화교육(또는 개별화 복지)이 가능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수요자를 위한 교육과 학습 측면에서의 다양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인공지능 기반의 관계분석, 예측분석, 적응분석, 정보 분석, 평가분석 등을 통하여 장애 당사자에게 진정으로 필요한 개별지원 요구가 무엇이지 파악하는 일이다.

빅 데이터는 작은 데이터의 집합체이다. 장애인 교육의 건전한 작은 데이터를 튼실하게 생산하고 집적하는 노력이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4차 산업혁명을 장애인 교육에 활용하려면 장애아의 읽기, 쓰기, 수학, 프로그래밍, 의사소통, 협력, 비판적 사고, 창의적 사고 등 전반의 작은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를 빅 데이터화하는 절차가 반드시 필요하다. 흩어진 자료, 기록되지 않고 버려지는 자료, 옛날 및 최근의 자료에 이르기까지 이를 모아야 한다.

장애인 교육은 기존의 교육자 중심의 지식전달자가 아니라 인공지능과 빅 데이터를 기반으로 장애 학습자의 학습을 촉진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방향으로 진화하여야 한다.

지금까지의 특수교육이 교사의 판단에 의한 개별화 교육계획에 의존하였다면 향후 4차 산업혁명시대에서는 AI 기반 빅 데이터와 클라우드 서비스에 근거한 학습자의 흥미와 학습동기를 파악한 후 장애인의 학습을 촉진하려는 개별화 학습계획(ILP: Individualized Learning Plan)을 수립할 수 있게 되어야 한다.

따라서 장애인 교육과 관련된 전문가들에게 4차 산업혁명은 장애를 가진 소수자를 몰락시키는데 역할을 할 것이라는 부정적인 생각을 할 필요는 없다. 나아가 장애인 관련 전문가로서의 역할이 사라질 것이라는 비관적 생각을 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앞서 장애인들의 개별적 욕구를 충족시키기고 이들의 학습 효과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관련 기초 자료의 생산과 축적을 통한 빅 데이터화에 앞장을 서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특수교육 전문가, 사회복지 전문가, 재활복지 전문가 등 관련 직종의 양성과정 교육과정의 변화와 연수 체계의 획기적 변화가 있어야 할 것이다.

4차 산업 관련 인공지능, 빅 데이터, 클라우드 서비스,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관련 기초 과정 연수를 통한 4차 산업혁명 결과물들의 활용능력을 신장시킬 필요가 있다.

4차 산업혁명은 진보의 문이다. 우리가 4차 산업혁명의 주인공으로서 결과물을 만드는 역할은 아니지만 이를 위한 기초 데이터를 생산하는 자임에는 틀림이 없다.

누군가가 4차 산업혁명의 문을 열어주기를 문밖에서 하염없이 기다리기보다는 용기를 갖고 그 문을 두드려야 한다. 두드리는 자에게 열리고, 찾는 자에게 주어지는 것이 세상의 이치이기 때문이다.

※칼럼니스트 신현기님은 현재 RI KOREA 교육분과 위원이며, 단국대학교 특수교육학과 교수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RI KOREA(한국장애인재활협회 전문위원회)'는 국내·외 장애 정책과 현안에 대한 공유와 대응을 위해 1999년 결성됐다. 현재 10개 분과와 2개의 특별위원회가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인천전략 이행, 복지 사각지대 해소 등 국내외 현안에 관한 내용을 칼럼에 담을 예정이다.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