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2일 영화 '도가니'의 개봉으로 장애인 성폭력 문제가 디시 한 번 부각되면서 많은 사람들의 분노를 사는 등 '흥분의 도가니'를 이루었다. 그러나 또 한편으로는 '장애인의 성'에 대한 호기심 정도의 '일시적인 도가니'를 느낄 뿐이라는 분위기도 없지 않다.

물론 성과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장애인전문 성폭력상담소와 쉼터가 생겨나고, 성폭력특별법에 수사 및 재판절차상의 특례, 심리의 비공개, 신뢰 관계에 있는 자의 동석, 비디오 등 중계 장치에 의한 증인신문, 비디오 녹화진술 등의 조항이 추가되었다.

더불어 아동, 장애인 성폭력 전담수사기관 1319팀이 전국지방경찰청에 설치되고, 진술조사 과정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전문 인력이 원스톱지원센터에 배치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각종 성과에도 불구하고 장애인 성폭력을 막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에는 여전히 못미치는 미미한 조치라고밖에 말할 수 없다.

2년 전 은지사건 때도 누리꾼들은 '분노와 흥분의 도가니'를 불러 일으켰고, 작년 대전 지적장애 여중생 사건 때도 그랬다.

그러나 이러한 사건들 외에도 우리가 알 지 못할 뿐, 지금도 어디에선가 장애인 성폭력은 일어나고 있을 것이다. 비장애인 성폭력사건 신고율이 7%인데 비해 장애인 성폭력사건 신고율은 3%에 불과하다.

장애인 성폭력이 끊임없이 발생하는 이유들을 살펴보면 장애인에 대한 무시와 차별, 남성 중심적 성문화, 관련법상의 문제. 수사 및 재판상의 문제, 성교육의 부재, 사회적 지원체계의 부족 등을 꼽을 수 있다.

보통 장애인 성폭력 가해자들의 범행인정 단계가 있다. 1단계는 성폭력 안했다. 2단계는 장애인인줄 몰랐다, 3단계는 피해자도 원했다. 마지막 4단계는 성관계를 할 수 기회를 제공해주었으니 오히려 잘 된 일 아닌가 등등. 이런 어처구니없는 일이 발생하는 것이 장애인 성폭력의 현실이다.

이번 기회가 장애인계에서 꾸준히 요구해온 성폭력 근절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들이 실행되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

첫째, 성폭력특별법상의 항거불능조항 삭제 및 둘째 수사 재판관들의 장애특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고려 및 관련 전문인력 확충, 셋째 전문상담소 및 ‘쉼터’ 확충 및 피해자 치료프로그램개발, 넷째, 맞춤형 성교육과 예산지원, 다섯째, 사회적 지원체계 구축과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 등이 그 대책들이다.

그야말로 '분노의 도가니'를 일으키고 있는데, 이것이 '일시적인 도가니'로 끝나지 않기를 바란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7개월 미숙아로 태어나 뇌성마비라는 장애를 갖게 됐다. 어렵게 대학을 졸업하고 다음 인생을 고민하던 중 인터넷으로 장애인시설에 근무하던 한 여성을 만나 그곳에 있는 한 남성생활인과의 고민을 들어주다 호감을 느끼게 됐다. 거절당했지만 그것을 계기로 장애인 성문제에 관심을 갖게 됐다. 장애인푸른아성 회원을 거쳐 활동가로 일했고, 프리랜서로 지체 및 발달장애와 중복되지 않는 뇌병변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성교육 강사이자 장애인 성 분야 활동가다. 현재는 장애인푸른아우성카페 운영자와 장애인성재활네트워크모임에 회원으로 활동 중이다.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