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로부터 활동보조 제도화 약속을 얻어낸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준비위원회 회원들이 1일 서울시청 앞에서 승리보고대회를 개최했다. 모두들 환하게 웃고 있다. <에이블뉴스>

“이제 시작일 뿐이다. 중증장애인들이 시설과 골방에서 지역사회로 밀물처럼 나오기 위한 하나의 기초를 투쟁으로 쟁취했을 뿐이다. 이제 노무현 대통령과 보건복지부는 대답을 해야 할 것이다.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도 활동보조인서비스의 제도화에 대하여 분명한 대답을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제도화의 내용이 얼마나 진실하고 실질적인가에 대하여 대답을 해야 할 것이다. 이제 우리는 전국적으로 그 투쟁을 준비할 것이다.”

이는 1일 서울특별시장으로부터 활동보조인 서비스 조례 제정 약속을 공식적으로 받아낸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준비위원회가 성명서를 통해 밝힌 내용이다. 전장연(준)은 1일 오후 1시 서울시청 앞에서 ‘활동보조인 서비스 제도화 쟁취 승리 보고대회’를 열어 승리를 자축하고, 앞으로의 투쟁에 대한 결의를 다졌다.

이날 성북장애인자립생활센터 이원교 소장은 이 소장은 “43일 투쟁기간 동안 많은 동지들이 열심이 싸운 결과, 서울시가 오늘 드디어 우리에게 항복했다. 자존심마저 버리고 투쟁해주신 동지들께 진심으로 동지애와 존경을 느낀다”고 전했다.

이어 이 소장은 “서울시 합의문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활동보조 서비스를 권리로써 인정한다는 문구”라며 “이는 골방에 갇혀 살고 시설에서 사육 당하는 중증장애인도 서울시에서는 인간답게 살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서울시청 정문 옆에 노숙농성 43일째를 알리는 플래카드가 붙어있다. <에이블뉴스>

43일 동안 서울시청 앞 노숙농성장을 관리해온 전장연(준) 활동보조서비스제도화 투쟁위원회 남병준씨도 “동지들이 외출하고 싶을 때 외출하고, 먹고 싶을 때 먹을 수 있는 권리, 시설에서 갇혀 살지 않아도 될 권리를 서울시가 처음으로 인정했다”며 기쁨을 감추지 못했다.

남씨는 “이제 서울시뿐만 아니라 전국에 있는 장애인들이 인간답게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우리의 투쟁으로 중증장애인들의 속도에 맞는 좀 더 느린 세상을 만들어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으로 전장연(준)은 활동보조인 서비스를 장애인들의 보편적 권리로 쟁취해내기 위해 보건복지부, 청와대 등을 상대로 대정부 투쟁을 진행하고, 이와 함께 각 지역 지자체에 활동보조 서비스의 책임을 촉구하는 지역투쟁을 진행해나간다는 계획이다.

관악장애인자립생활센터 이양신씨는 “서울시의 활동보조 제도화 약속은 중증장애인들이 인간답게 살 수 있도록 하는 첫발을 내디딘 것이라 생각한다”며 “더 이상 중증장애인들이 시설과 골방 생활이 아닌 지역사회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더욱 힘찬 투쟁으로 응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성동장애인자립생활센터 최용기 소장은 “아직 투쟁은 끝나지 않았다”며 “서울시에서 활동보조를 조례로 제정한다 하더라도 중앙 정부 차원에서 제도적 보장을 하지 않는다면 보편적 권리로써 보장받을 수 없다. 서울에 살건 지역에 살건 상관없이 권리로써 활동보조 서비스를 누리며 지역사회에서 당당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우리의 투쟁은 계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리플합시다]장애인 일자리 100,000개 과연 가능할까?

[투표합시다]장애인 일자리 100,000개 과연 가능할까?

승리보고 대회 중 '이제 마음껏 웃어보자'는 사회자의 말에 웃음꽃이 피었다. <에이블뉴스>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