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4일 연세대학교 새천년기념관 104호에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주최로 열린 ‘증증장애인 자립생활 시범사업 평가 및 모델 개발’ 최종공청회. <에이블뉴스>

■자립생활센터 시범사업 평가결과-②

지난 24일 연세대학교 새천년기념관 104호에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주최로 열린 ‘증증장애인 자립생활 시범사업 평가 및 모델 개발’ 최종공청회에서 시범사업 대상 장애인자립생활센터 10곳의 소장 및 관계자와 인터뷰를 통해 장애인자립생활센터의 운영 및 사업 현황에 대해 조사한 결과가 발표됐다.

전동휠체어 접근 불가능한 자립생활센터도 있어

▲자립생활센터 접근성=시범사업 자립생활센터 10곳 중 9개 센터가 전동휠체어 접근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립생활센터 10곳 모두가 홈페이지를 갖추고 정보를 제공하고 있고, 8곳의 센터에서는 컴퓨터 파일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시청각 장애인의 접근성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점자자료와 녹음자료를 비치한 곳은 1곳에 불과했으며, 확대된 인쇄 자료를 비치한 곳도 3곳에 불과했다. 현재 시각장애인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은 1곳에 불과했으며, 청각장애인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곳은 5곳으로 나타났다.

현재 정신지체인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자립생활센터는 2곳에 불과했으며, 정신장애인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센터는 7곳에 해당했다. 향후 정신지체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응답한 경우는 4곳, 향후 시각장애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응답한 곳은 3곳, 향후 청각·정신장애·내부장애·발달장애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응답한 곳은 1곳으로 나타났다.

각 자립생활센터에서 자립생활의 주요 철학 중 가중치를 두고 있는 부분으로 43.9%가 ‘장애인당사자 중심’을 꼽았다. ‘권익옹호활동’이 21.1%, ‘전 장애영역 포괄’이 14%,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하는 생활’이 12.3%, ‘동료 간 지지’ 8.8%로 나타났다.

주로 하는 일은 ‘권익옹호 활동’과 ‘자립생활기술 훈련’

▲자립생활센터가 하는 일=자립생활센터 10곳 모두가 ‘동료지지 및 상담’, ‘정보제공 및 의뢰’, ‘활동보조서비스’ ‘이동차량서비스’, ‘자립생활전파교육’을 실시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지역사회에 대한 권익옹호활동’을 하고 있는 곳은 10곳 중 9곳으로 나타났으며, ‘자립생활기술훈련’을 하고 있는 곳은 8곳, ‘주택개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은 7곳, ‘권익옹호 훈련’ 6곳, ‘보장구 지원’ 6곳, ‘취업지원’ 5곳, ‘개인에 대한 권익옹호활동’ 5곳, ‘체험 홈 서비스’ 4곳, ‘주택소개’ 3곳, ‘한글 및 초중등교과교육’ 3곳, ‘법률자문’ 2곳, ‘수화통역 서비스’ 1곳으로 나타났다. ‘명문화된 서비스 대상 선정기준’이 있다고 응답한 곳은 9곳이었다.

자립생활센터 10곳 중 최근 6개월 안에 ‘탈시설화에 대한 활동’을 한 곳은 9곳, ‘교통수단(시설) 접근성에 대한 활동’을 한 곳은 9곳으로 나타났다. ‘활동보조서비스에 대한 활동’을 한 곳은 8곳, ‘지역사회편의시설에 대한 활동’을 한 곳이 8곳, ‘교육에 대한 활동’을 한 곳이 7곳, ‘주택에 대한 활동’을 한 곳이 6곳, ‘고용에 대한 활동’을 한 곳이 5곳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 사회복지기관과의 관계=자립생활센터와 지역사회 내 사회복지기관과의 관계는 협조적인 편으로 나타났다.

‘지역 장애인복지관과 매우 협조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고 응답한 센터는 3곳, ‘다소 협조적’이라는 응답이 6곳, ‘그저 그렇다’는 응답이 1곳으로 나타났다. 장애인시설 외 지역사회복지관들과의 관계도 ‘매우 협조적’이라는 응답이 5곳, ‘다소 협조적’이라는 응답이 5곳으로 나타났다.

반면 자립생활센터 협의체와의 도움 정도를 묻는 질문에 ‘매우 도움이 된다’고 응답한 곳이 3곳, ‘약간 도움이 된다’고 응답한 곳이 4곳, ‘그저 그러하다’고 응답한 곳이 2곳으로 나타났으며 1개 센터는 ‘관계없다’고 응답했다.

재정의 대부분, 정부·지자체 지원금에 의존

▲자립생활센터 예산 운영=시범사업 자립생활센터 10곳의 최근 1년간 평균 수입액은 1억9천530만2천원으로 이 중 시범운영에 따른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금이 전체 수입의 72.6%로 가장 많았다. 중앙정부 지원이 6천648만3천원으로 34%, 지자체 지원이 7천532만4천원으로 38.6%를 차지했다. 그 외 수입으로는 ‘공동모금회’ 지원이 1천434만원으로 7.3%를 차지했으며, ‘법인전입금’ 3%, ‘개인후원금’ 2.6%, ‘프로그램수입금’ 2.2%, ‘재단기업’ 2%로 나타났다. 기타 수입은 10.2%를 차지했다.

최근 1년간 평균 지출액은 1억9천577만4천원으로 집계됐으며, ‘활동보조사업비’가 6천64만6천원으로 전체의 31%를 차지했다. ‘인건비’가 4천803만5천원으로 24.5%를 차지했으며, ‘사업비’가 3천341만3천원으로 17.1%에 해당했다. 그 외 지출로는 ‘운영비’가 9.5%, ‘직원연봉’이 8.9%, '팀장연봉‘이 6.3%, ’소장연봉‘이 5.4%, ‘기타 인건비’가 1.8%, ‘권익옹호’ 1.3%, ‘지역사회변화’ 0.9%, ‘개인변화’ 0.4%를 차지했다.

▲서비스에 대한 사후 평가=전체 이용자를 대상으로 정기적으로 만족도 조사를 하는 센터는 5곳, 사업 종결에 따른 만족도 조사를 하는 곳은 6곳, 이용자 간담회를 통한 정기적 만족도 조사를 하는 곳은 5곳, 이용자 자문단(모니터링팀)을 통한 만족도 조사를 하는 곳은 4곳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 회원을 대상으로 사업결과를 정기적으로 보고하는 곳은 5곳, 운영위원회에서 정기적인 보고를 하는 곳은 7곳, 중앙이나 지방정부에 정기적인 보고를 하는 곳은 7곳, 법인이나 상부단체에 정기적인 보고를 하는 곳은 6곳으로 나타났다.

[리플합시다]장애인 일자리 100,000개 과연 가능할까?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