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장애인에 대한 인식은 의료적 모델 관점에서 재활 중심의 지원체계로 인한 재활 치료의 대상자로만 각인되어왔다. 하지만 사회적 모델의 등장과 자립 생활운동의 확산으로 이제는 재활보다는 자립을 강조하는 지원체계가 갖춰져 가고 있으며, 장애인에 대한 인식도 많이 변하였다.

이런 시대적 변화에도 여전히 재활 중심에 머물러 있는 장애 유형이 있다. 바로 뇌병변장애 중에서도 뇌졸중 장애인이다.

뇌졸중 장애의 원인은 혈류량의 감소로 중추신경계 일부에 손상이 가는 것으로 장애특성은 손상부위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초기에 먹기, 착탈의, 개인위생, 이동 그리고 보행기술들을 손상시키는 신체장애를 보이고, 좌반구에 손상을 입게 되면, 우측 팔다리의 마비와 함께 의사소통(말하기, 이해하기, 읽기, 쓰기 등)의 손상을 지닐 수 있는데 우반구에 손상을 입게 되면, 왼쪽 팔다리의 마비와 함께 지각(시·공간적)결함들을 지닐 수도 있게 되며, 시각결함들은 언어기능 제한이 없을 시에도 읽기 능력을 손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장애특성으로 인해 아무리 재활을 한다 해도 예전의 모습으로 완전히 돌아가기 매우 어려우며, 이 과정에서 또 한 번 심리적 좌절을 경험하게 된다. 또한, 뇌졸중 장애는 최근 20대~30대에도 경험하는 경향이 늘어나고 있으므로 뇌졸중 장애인의 심리·사회적 문제와 함께 가족 단위에 큰 영향을 미친다.

가사 일을 맡아서 하던 사람, 가족의 주된 수입원, 혹은 젊은 성인이 뇌졸중으로 인하여 자신의 사회적 역할을 박탈당했다는 의식은 전체 가족을 심각하게 분열시킬 수 있다.

예전과는 다른 신체 능력으로 인한 상실감과 달라진 외적 모습, 무엇보다 주위 사람들의 시선과 인식이 뇌졸중 장애인을 더욱 힘들게 한다.

이런 이유에서 뇌졸중 장애인은 신체적 장애뿐만 아니라, 심리적 장애도 동반하고 있으며, 단순히 신체적 장애를 치료해주는 재활만으로는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중·장년기 이후 발생하는 뇌졸중 장애인의 사회진출을 위해서는 사회 복귀를 위한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 뇌병변장애인의 지원은 초기 뇌성마비 장애인에게 초점이 맞춰져 있어 중도 뇌병변장애인의 사회 복귀를 위한 지원체계가 필요하다.

하나의 사례로 장애인의 사회 복귀를 위한 지원체계가 잘 구축된 장애 유형은 척수장애이다. 척수장애인은 중도, 중복, 중증의 장애라는 특징을 가지며, 대부분 장루·요루장애와 성기능 장애 등을 포함하고 있어 중복장애이다.

척수장애인의 사회 복귀를 위한 지원체계를 보면 정보(대상자 발견 및 욕구 조사), 재활(훈련 및 의료), 교육(심리 및 가족지원), 상담(자조 모임 및 동료 상담), 사회진출(지역사회 체험 및 복직)의 과정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체계적인 사회 복귀 지원이 가능한 것은 민간단체와 정부, 지자체 간의 역할분담에 따른 민·관 협력체계가 구축되어 있기 때문이다. 정보제공과 욕구 조사, 상담사 양성·파견과 같은 소프트웨어 척수장애인협회가 중심으로 개발하고 정부, 지자체는 이를 지원해주고 있다.

이에 비해 뇌졸중 장애인은 이러한 지원체계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중도에 장애인이 된 뇌졸중 장애인의 사회 복귀를 위한 지원체계 마련이 필요하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임상욱 칼럼리스트
‘우리나라 장애인이 살기 좋아졌다’고 많은 사람들은 얘기한다. ‘정말 그럴까?’ 이는 과거의 기준일 뿐, 현재는 아니다.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에 맞게 장애인정책과 환경도 변해야 하지만, 이 변화에서 장애인은 늘 소외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 제기와 대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